논문 상세보기

사회적 학습지원과 혁신행동과의 관계 - 무형식 학습의 매개효과, 조직정치 지각의 조절효과 - KCI 등재

The Effect of Social Learning Support on Employees’ Innovative Behavior - The Role of Informal Learning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Politics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7569
  • DOIhttps://doi.org/10.14396/jhrmr.2018.26.1.4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800원
인적자원관리연구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Research)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Korean Academy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초록

교육훈련과 직무성과의 간격을 좁히기 위해 교육훈련이 어떻게 전이되는지에 대해 초점을 두고 학습 자 특성, 교육 프로그램 설계와 개발, 업무환경 등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어져 왔다. 특히 업무 환경의 여러 요소 중(Baldwin & Magiuka, 1991; Kontoghiorghes, 2002) 사회적 지원은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일부 연구들만이 수행되어져 왔으므로 연구의 확장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본 연구는 사회적 학습지원인 상사 학습지원과 동료 학습지원이 무형식 학습과 조직정치 지각을 통해 혁신행동으로 이어지는 과정과 상황/맥락을 설명하였다. 무엇보다 학습에 대한 전이결과로 혁신행동을 살펴보는 것은 의의를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학습지원, 무형식 학습, 혁신행동과 조직정치 지각과 관련된 기존 문헌을 검토하였는데 조직정치 지각은 이익을 위해 가만히 있는 것과 임금/승진 정책으로 구분하였다. 연구가설은 직접효과 가설, 매개효과 가설 그리고 조절효과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일반병원과 종합병원 등을 대상으로 병원간호사와 의료기사 그리고 행정직원들로부터 설문지를 수거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총 406개의 설문이 최 종분석에 활용되었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사 학습지원과 동료 학습지원은 무형식 학습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형식 학습은 혁신행동을 높이고 있었다. 셋째, 무형식 학습의 매개효 과를 살펴본 결과 사회적 학습지원인 상사 학습지원, 동료 학습지원과 혁신행동과의 관계에서 무형식 학습의 매개역할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조직정치 지각은 무형식 학습과 혁신행동 사이의 관계를 조절 하고 있었는데 조직정치 지각: 이익을 위해 가만히 있기가 높은 경우 무형식 학습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력은 더욱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정치 지각: 임금/승진 정책의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무형식 학습의 중요한 선행요소로 사회적 학습지원이 의미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사 뿐만 아니라 동료의 학습지원이 무형식 학습활동을 높인다는 것이다. 또한 학습전이와 관련하여 사회적 학습지원은 무형식 학습을 촉진시키며, 높아진 무형식 학습의 학습전이 결과로 혁신행동이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때 이익을 위해 가만히 있는 조직정치가 높은 경우는 무형 식 학습이 혁신행동으로 이어지는 것을 낮추고 있어 조직정치를 낮추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Among the elements of work environment characteristics(Baldwin & Magiuka, 1991; Kontoghiorghes, 2002), only a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social learning support. Based on this background,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ocial learning affect on innovative behavior which reflect of learning transfer theory and focus on process used terms such as informal learning and context ussed terms as perceived organizational politics(POP) in hospital situations. The concept of social learning support defined the degree of individuals perceived that their learning support and valued by workplace sources, such as supervisor and coworker. Perceived organizational politics are consist of ‘go along to get ahead’ and ‘pay and promotion policies’. Based on literature review, we draw the main,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 hypothesis. To test the hypothesis, total 406 questionnaires a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ocial learning support have positive impact on informal learning. Second, informal learning leading to innovative behavior. Third, informal learning mediat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learning support and innovative behavior. Finally, POP are partially moderat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l learning and innovative behavior, specially go along to get ahead are have modera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has practical value as it helps organizations understand what types of social learning support of employees should invest in to learning on the other hand reduce POP. There are many strategies that an organization can use to increase both supervisor and coworker support of learning, such as increase training budget for enhancing informal learning. Also take up of learning supportive policies, which in turn may lead employees to perceive the organizational climate as more learning supportive, which relates to lower POP. This study shows how important it is for organizations to invest in selecting and developing managers who are able to provide positive learning support for employees generally on the innovation issu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과 연구가설
  1. 사회적 학습지원과 무형식 학습
  2. 무형식 학습의 매개효과
  3. 조직정치 지각의 조절효과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변수의 조작적 정의와 측정
 Ⅳ. 실증분석 결과
  1.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
  2. 기술통계량과 상관관계
  3. 연구가설 검증
 Ⅴ. 결론 및 토의
  1. 연구결과 요약
  2. 연구의 의의와 시사점
  3.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과제
 참 고 문 헌
 
저자
  • 조윤형(조선대학교 경상대학 경영학부) | Cho Yoon Hyung
  • 박서정(호남권역재활병원 행정관리팀) | Park Seo Jung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