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Short thumb opponens splint 착용이 분만성 상완 신경총 손상 아동의 상지 기능 및 손 기능에 미치는 효과: 증례 보고 KCI 등재

The Effects of Short Thumb Opponens Splint on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Hand Function in Child With Obstetric Brachial Plexus Injury: A Case Repor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757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500원
대한작업치료학회지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대한작업치료학회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short thumb opponens splint 착용이 분만성 상완 신경총 손상 아동의 상지 기능과 손 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 방법 : 분만성 상완 신경총 손상으로 진단 받은 11세 남성 아동 1명을 대상으로, 증례 보고 방법 중 (single-subject experimental research design) ABA’ 설계를 사용하였다. 총 20회기로 매주 1회기씩 20주간 진행하였다. 기초선 5회기는 중재 없이 평가하였고 중재기 10회기는 하루 6시간 short thumb opponens splint를 착용 하는 중재를 실시한 후 평가하였다. 추적기 5회기는 중재 없이 평가하였다. 평가는 손기능 평가를 위한 상자와 나무토막 검사(Box and Block Test; BBT), 상지 기민성 검사(nine-hole pegboard test)와 분만성 상완 신경총 손상 환자의 상지 기능 평가를 위한 Mallet scale, active movement scale 검사를 통해 변화를 알아보았다.
결과 : short thumb opponens splint 중재 결과, 상지 기능(Mallet scale, active movement scale)과 손기능(BBT, nine-hole pegboard test)은 중재 전에 비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결론 : short thumb opponens splint 착용이 분만성 상완 신경총 손상 아동의 상지 기능과 손기능향상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향후 분만성 상완 신경총 손상 환자의 임상적 중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short thumb opponens splint on the upper extremity and hand functions in a child with an obstetric brachial plexus injury.
Methods: This single-subject experimental design study of an 11 year-old male patient diagnosed with an obstetric brachial plexus injury was conducted using the ABA’ design. A total of 20 sessions were held, once a week for 20 weeks. During the baseline period, five sessions were assessed without intervention. During the intervention period, ten sessions were assessed after intervention with a 6 h short thumb opponens splint. In the follow-up period, five sessions were assessed without intervention. To measure the upper extremity and hand functions, a Box and Block Test(BBT), nine-hole peg test, mallet scale, and an active movement scale were assessed before, during, and after intervention.
Results: After intervention with a short thumb opponens splint, the participant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hand(BBT, nine-hole peg test) and upper extremity(mallet scale, active movement scale) functions and demonstrated improvement.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use of a short thumb opponens splin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upper extremity and hand functions. These results can be used to form basis of a clinical intervention in patients with an obstetric brachial plexus injury.

목차
국문초록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 도구
  3. 치료 중재
  4. 연구 절차
  5. 분석 방법
 Ⅲ. 연구 결과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상지 기민성 검사
  3. Mallet scale
  4. Active movement scale
 Ⅳ. 고 찰
 Ⅴ. 결 론
 References
 Abstract
저자
  • 정유진(원광대학교병원 작업치료실) | Jung Yu-Jin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Wonkwang University Hospital)
  • 김지희(원광대학교병원 재활의학과) | Kim Ji-Hee (Dept. of Rehabilitation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Hospital) Corresponding author
  • 김은주(전주대학교 의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 Kim Eun-Joo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Medical Sciences, Jeonju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