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과실류 수확 후 손실률 조사기법 개선 및 적용 KCI 등재

Improvement of Calculation Models for Assessing Postharvest Loss of Fruit and its Applic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762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초록

과실류의 수확 후 손실률을 정밀하고 과학적으로 산출하기 위하여 종합손실률과 평균손실률 계산 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여 산지유통센터 3개소의 저장 사과의 손실률 산출 및 확대 적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과실류 저장 중 증가하는 중량감소율과 비상품과율을 동시에 표현하기 위하여 종합손실률 계산 모델「종합손실률 = 비 상품과율 + 상품과 내 중량감소율」 을 개발하였다. 사과와 같이 상대적으로 저장을 오래하는 과실류는 시장 수요에 대응하여 출하량을 조절하므로, 저장기간별 출하량 비중을 반영하여 저장 평균손실률 계산 모델「저장 평균손실률 = Σ (저장기간별 종합손실률 × 저장기간별 출하비율」 을 개발하였다.
개선된 손실률 계산 모델을 사과의 저장 평균손실률과 포도의 수확 후 선별 손실률 산출에 적용한 사례를 제시하였다. 산지유통센터 3개소의 ‘후지’ 사과의 6개월 간 저장 평균손실률은 4.7%로 산출하였으며, ‘캠벨얼리’, ‘거봉’, ‘MBA’ 포도의 수확 후 선별 시 발생하는 평균 손실률을 3.4%로 산출하였다. 또한 유통시장 형태별 물량 점유율을 손실률에 적용하여 특정 과실의 유통시장 내 평균손실률 산출 예시를 제시하였다.
시료 수, 조사지역, 품종 둥을 확대하여 개선된 손실률 계산 모델을 적용한다면 수확 후 손실의 정밀한 진단이 가능하며, 수확후관리 기술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해외농업기술개발사업 대상인 개발도상국의 수확후관리 매뉴얼개발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Recognition of postharvest loss for each commodity contributes to be basic information for developing postharvest technologies and handling manuals. In order to calculate the postharvest loss of fruits precisely and scientifically, we improved calculation models for total loss and average loss. A total loss calculation model can express both weight loss and non-commodity rate at the same time. The model equation is「total loss = non-commodity rate + weight loss in sound commodity」. Fruits with a relatively long shelf-life, such as apples, pears and persimmons, adjust the shipping amount in response to market demand. Therefore, an average storage loss calculation model was developed to reflect the shipment proportion by storage period. The model can be expressed as「average storage loss rate = Σ (total loss rate by storage period × shipping rate by storage period)」. As a result of application of the postharvest loss calculation models, ‘Fuji’ apples stored for 6 month at three packing houses exhibited 4.7% of average loss. In addition, the postharvest loss calculation models can be applied to assess average loss of commodities consisted by diverse cultivars and distributed through various market types. It is expected that the proposed postharvest loss calculation models will enable accurate diagnosis of postharvest losses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postharvest technology.

목차
ABSTRACT
 서 언
 재료 및 방법
  손실률 계산식
  저장 사과의 손실률 계산식 적용
  포도 수확 후 선별 시 손실률 계산식 적용
 결과 및 고찰
  손실률 계산 모델 – 종합손실률
  손실률 계산 모델 – 저장 평균손실률
  저장 사과의 손실률 계산식 적용
  손실률 계산 모델의 확대 적용
 적 요
 REFERENCES
저자
  • 이진수(국립원예특작과학원 저장유통과) | Jinsu Lee (Postharvest Technology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 Herbal Science) Corresponding author
  • 최미희(국립원예특작과학원 저장유통과) | Mi-Hee Choi (Postharvest Technology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 Herbal Science)
  • 최현진(국립원예특작과학원 저장유통과) | Hyunjin Choi (Postharvest Technology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 Herbal Science)
  • 임병선(국립원예특작과학원 저장유통과) | Byung-Seon Lim (Postharvest Technology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 Herbal Sci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