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찬송가의 유입과 메타모포시스 시학의 가능성 —창가, 신체시, 자유시의 등장을 중심으로 KCI 등재

A Study on Influx of Hymn and Possibility of Metamorphosis Poetics —Focusing on the Emergence of Song, the New Style Poetry, the Free Verse Poem.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764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100원
문학과 종교 (Literature and Religion)
한국문학과종교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Literature and Religion)
초록

이 논문은 근대시 형성과정에 대한 두 가지의 의문으로 시작 했다. 첫째, 근대시의 형성과정은 개화가사→ 창가→ 신체시→ 자유시로 단계적인 이행을 거쳤을까? 둘째, 19세기말 찬송가의 유입은 창가처럼 노래를 전제한 시가(詩歌) 뿐만 아니라, 신체시와 자유시의 형성에도 상당하게 영향을 주었을까? 하는 것이었다. 사실 창가와 신체시는 서양의 선교사들이 중심이 되어 찬송가가 활발하게 번역되면서 개화기의 시가(詩歌)에 영향을 주게 되고, 이후 자유시의 태동에도 일정부분 영향을 끼친 것으로 생각된다. 이 글의 논점은 찬송가는 서양악곡을 기반으로 한 종교음악이었지만 번역과정을 통해 시적(詩的)인 형식과 새로운 문물에 대한 인식의 전환을 가져와서 근대시의 형성에도 영향을 준 것으로 보 았다. 최남선의 신체시는 그 가운데에 등장하게 된 것이며, 본고는 이를 갈등과 변화 속에서 탄생한 ‘메타모포시스 시학’으로 불러보고자 했다.

This thesis started with two questions about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modern poetry. First, did the modern poetry follow the gradual transition process of development of Enlightenment lyric from Emergence of Song, through New style poetry, to Free verse poem? Second, did the influx of hymn in late 19th century influence not only poetic song which is poem intended to be sung but also development of the New style poetry and Free verse poem? Actually, Emergence of Song and the New style poetry influenced Poetic song in enlightenment period as they were translated actively by Western missionaries. Later they are considered to have an effect on the beginning of Free verse poem. Hymns were religious music that were based on Western music but via the translation process they brought changes about poetic rhythm and perception of newly brought materials. So they seem to have influenced development of modern poetry. Nam-sun Choi ’s New style poetry made an appearance in this situation, This thesis call it ‘metamorphosis poetics’ as it was developed during the time of conflicts and changes.

목차
Abstract
 I. 서론: 근대초기 찬송가의 유입과 메타모포시스 시학의 단초들
 II. 신체시의 등장과 근대시 형성에 관한 오해 -창가는 신체시로 이행된 것인가
 III. 가(歌)에서 시(詩)로의 분화 혹은 변화의 모색 —신체시는 찬송가의 영향인가
 IV. 결론에 대신하며: 메타모포시스 시학으로서 신체시의 의의(意義)
 Works Cited
 국문초록
저자
  • 전영주(Humanities Korea Plus (HK+) Research Project Team at Soongsil University) | Jeon Young-jo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