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보육교사의 다문화 교육인식과 다문화 수용성 간의 관계: 다문화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KCI 등재

The Effects of Childcare Teachers’ Perceptions of Multicultural Education on Multicultural Acceptability: The Mediating Effects of Teacher Efficac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792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100원
코칭연구 (Journal of Korean Coaching Research)
한국코칭학회 (The Korean Association of Coaching)
초록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다문화 교육인식과 다문화 수용성 간의 관계에서 다문화 교사효능감의 구조적 관계를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은 보육교사 대상 220명이었고 전체 표본의 크기를 설정하였다. 설문 지역은 대전과 충청 지역에서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2016년 6월~8월 기간 동안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불성실하게 응답한 16부를 제외한 204부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전공별로는 유아교육전공 59명(28.9%), 아동보육전공 65명(31.9%), 기타전공자 80명(39.2%)이였으며, 교직경력 중 다문화가정 영ㆍ유아를 지도한 경험은 있다 87명으로 전체 응답자의 43.1%였다. 분석과정에서 밝혀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다문화 교육인식과 다문화 교사효능감은 다문화 수용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다문화교육인식과 다문화교사효능감이 높을수록 다문화수용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다문화 교육인식은 다문화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다문화 수용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다문화 교육인식은 다문화 수용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다문화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다문화 수용성을 촉진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 결과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multicultural teacher 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teachers’ percep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220 childcare teachers were randomly selected in Daejeon and the Chungcheong area of South Korea as subjects of this study. After the survey was conducted, 16 unreliable questionnaire responses were excluded. A total of 204 questionnaire responses were used as analytical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ercep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multicultural teacher efficacy have a positive effect on multicultural acceptability. Second, the percep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significantly affects multicultural acceptability through multicultural teacher efficacy as a mediating factor. Thus, this study has demonstrated that the percep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has a direct effect on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can be promoted through multicultural teacher efficac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측정도구
  3. 분석방법
 Ⅲ. 결과 및 해석
  1. 측정모형 분석결과
  2. 구조모형 분석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 고 문 헌
 Abstract
저자
  • 육길나(건양대학교 아동보육학과) | Yuk Gil-La (Department. of Child Care and Education, Konyang University)
  • 성경주(극동대학교 아레테 교양대학) | Seong Gyeong Joo (rete college of General Education, Far East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