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사주명조의 計量化를 통한 성명학적 用神法고찰 내격( 內格)사주를 중심으로 KCI 등재

A study on the naming-oriented Yongsin method (用神法) through quantification (計量化) of Sajumyeongjo - Focusing on Naegyeok (內格) Saju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971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300원
동방문화와 사상 (East Asian Culture and Thought)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동양학연구소 (Institute of Oriental Studies)
초록

용신(用神)을 이용한 성명학은 명리학의 용신론에 따라 사주 용신을 도출하고 한글 오행과 한자 자원오행(字源五行)을 활용하여 이름에 용신이 강하게 하는 성명학이므로 가장 학술적이고 전문적인 성명학이다. 명리학에서 용신론이 차지하는 위상에 비해 용신성명학은 체계를 잡지 못하고 있으므로 논자는 선행연구의 성과를 바탕으로 사주명조의 계량화를 통하여 용신성명학의 선결과제인 내격사주의 성명학적 용신법에 대한 체계를 세우고자 하였다. 억부, 조후, 통관, 병약법 순서로서 내격사주의 용신론과 격국용신론을 개괄한 후 사주명조의 계량화(計量化)에 의한 성명학적 용신의 도출법을 논하였다. 일간 역량 20에 미치는 비겁⋅인성의 역량을 연간 5, 연지 9, 월간 10, 월지 30, 일지 21, 시간 10, 시지 15로써 수량화하고 일간, 비겁, 인성의 역량 합이 45이하면 신약, 46-60 는 중화 신약, 61-75는 중화 신강, 76 이상은 신강으로 분류하였다. 억부용신법을 따르는 사주가 신약하면 주로 비겁이나 인성에서 용신을 도출하고 신강하면 사주 상황에 따라 식상, 재성, 관성 중에서 용신을 도출함을 논하였다. 그리고 중화에 근접하는 중화신약, 중화신강 사주는 성명 학적 용신법을 폭넓게 적용하여 격국용신과 억부용신 중에서 택하여 성씨의 한글⋅한자자원 오행과 상생이 되게 하는 작명을 제안하였다. 억부용신과 조후용신이 일치하지 않을 때는 조후용신을 우선하여 용신을 도출하되 사주의 조후가 충족되고 있으면 다시 억부용신을 적용하도록 하고 이 경우, 조후가 충족되는 조건을 명시하였다. 또한 사주에서 두 개의 오행 수량이 왕(旺)하면서 상극할 때는 화해시키는 통관용신(通關用神)을 강조하였다. 본 논문은 ‘합충(合沖)에 의한 용신 변화’를 다루지 못한 한계가 있으므로 후속연구를 통해 보완하고자 한다.

Naming with Yongsin is the most scientific and specialized naming study because Saju Yongsin is drawn according to the Yongsin theory of Myeongrihak and Yongsin is strengthen in names by utilizing the Five Elements in Hangul and the Five Elements (字源五行) in Chinese Characters. As Yongsin naming has not been systemized in comparison with the Yongsin theory's status in Myeongrihak, the writer tried to systemize the naming-oriented Yonshin method in Naegyeoksaju, the foremost task for Yongsin naming through quantification of Sajumyeongjo based on results of the precedent studies. The Yongsin theory of Naegyeoksaju and the Gyeokguk Yongsin theory were summarized in order of Eokbu, Johu, Dongwan, Byeongyak Method and then the deduction method of naming-oriented Yongsin by quantification (計量化) of Sajumyeongjo was discussed. Bigeop⋅Inseong capabilities which have an effect of Ilgan capabilities 20 were quantified as Yeongan 5, Yeonji 9, Wolgan 10, Wolji 30, Ilgi 21, Sigan 10, and Sigi 15. And if the sum of Ilgan, Bigeop, and Inseon capabilities is equal to or less than 45, it was classified into Sinyak. If it is 46-60, it was classified into Junghwa Sinyak. If it is 61-75, it was classified into Junghwa Singang. If it is equal to or more than 76, it was classified into Singang. If Saju which follows the Eokbuyongsin method is sinyak, Yonsin was usually drawn from Bigeop and Inseong. If it is Singang, Yongsin was drawn from Siksang, Jaeseong, and Gwanseong according to Saju situations. And for Junghwasinyak and Junghwasingang Saju which came close to Junghwa, naming that the five elements of Hangul and Chinese characters coexist was suggested by applying the naming-oriented Yongsin method to it widely and selecting one of Gyeokgukyongsin and Eokbuyongsin. When Eokbuyongsin and Johuyongsin did not coincide, Yonsin was drawn by giving priority to Johuyongsin. But if Johuyongsin is satisified, Eokbuyongsin was applied. In this case, the condition which satisfy Yonsin was specified. And when the two five elements are active and collide with each other, Tongwanyonsin which brings them back together was emphasized. This paper tries to be supplemented through follow-up studies because it has the limit which cannot treat 'change of Saju Yonsin by Hapchung(合沖).'

목차
논문 초록
 Ⅰ. 서론
 Ⅱ. 내격(內格)의 용신론
 Ⅲ. 격국에 의한 용신론
 Ⅳ. 계량화를 통한 내격사주의 성명학적 용신 도출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이재승((사)아시아문화학술원) | Lee Jaeseung (Research Affairs of the Asia Culture Academy of Sci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