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국내 외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이중문화역량의 조절효과 KCI 등재

The moderating effect of bicultural compet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and depression among international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9777
  • DOIhttps://doi.org/10.14328/MES.2019.3.31.1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다문화교육연구 (Multicultural Education Studies)
한국다문화교육학회 (The Korean Association for Multicultural Education (KAME))
초록

본 연구는 국내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이들이 경험하는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이중문화역량이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를 조절하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도 소재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외국인 유학생 144명의 설문지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우울과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이중문화역량과 부적상관을 나타냈고, 이중문화역량은 우울과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국내 외국인 유학생들이 지각하는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이들의 우울을 유의미하게 증가시켰다. 즉, 이들이 경험하는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우울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국내 외국인 유학생들이 지각하는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이중문화역량은 조절변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이들이 경험하는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크더라도 높은 수준의 이중문화역량을 지니고 있으면 이들이 경험하는 우울의 수준은 그리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이론적 논의와 제한점 및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acculturative stress on depress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bicultural compet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and depression of international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The participants were 144 international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cculturative stress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depression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bicultural competence. Bicultural competence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depression. Second, acculturative stres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depression. Acculturative stress they experience affected depression negatively. Third, bicultural competence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and depression. It turns out that the level of depression they experience is not that great if they have a high level of bicultural competence even though acculturative stress they experience is high. Limitations and the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are discussed.

목차
ABSTRACT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1.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우울
  2. 이중문화역량
 Ⅲ. 연구 방법
  1. 연구 참여자
  2. 연구도구
  3. 분석방법
 Ⅳ. 연구결과 및 분석
  1. 주요 변인들의 평균, 표준편차 및 상관관계
  2. 출신 국가에 따른 주요 변인들의 차이
  3.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4.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이중문화역량의 조절효과
 Ⅴ. 논의 및 제언
 국문요약
 참고문헌
저자
  • 이안나(조선대학교) | Oan-Na Lee (Chosun University)
  • 박경아(조선대학교) | Gyeong-A Park (Chosun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