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형태형질에 기초한 황철나무와 물황철나무의 분류학적 연구 KCI 등재

Taxonomic Study of Populus maximowiczii Henry and Populus koreana Rehder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7025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본 연구에서는 분류학적 실체에 대해 많은 논쟁이 있어왔던 황철나무와 물황철나무의 분류학적 재검토를 통해 두 분류군의 유연관계를 밝히기 위하여 엽형질과 미세형질들을 분석하였다. 엽의 크기를 암·수 구분 없이 전체 평균 너비, 길이, 면적으로 비교한 결과 종간 및 종내 모두 1%에서 고도의 유의차가 검증되었고, 황철나무는 55.56 mm, 73.5 mm, 28.72 mm2, 물황철나무는 76.80 mm, 117.82 mm, 68.61 mm2로 측정되어 황철나무의 엽 생장은 물황철나무에 비해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황철나무의 엽병과 엽맥에는 털이 발견되지 않았지만 물황철나무의 엽병과 엽맥에는 양면 모두 털이 밀생하였다. 성숙한 황철나무의 삭과는 3개로 갈라지며 동일한 시기에 물황철나무는 4개로 갈라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조사된 형질을 종합한 결과, 황철나무와 물황철나무의 종간 분류에 중요한 정보를 주는 요인으로는 잎의 크기와 삭과가 터지는 유형, 엽병 털의 유무 등이 있었다.

In previous studies, many researchers have discussed the taxonomy between Populus maximowiczii and P. koreana. In this study, the limitation and relationship of P. maximowiczii and P. koreana were identified by a taxonomic reviewal based on leaf characteristics and micr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verages of leaf blade width, length, and area in P. maximowiczii were 55.56 mm, 73.52 mm, and 28.72 mm2, while those in P. koreana were 76.80 mm, 117.82 mm, and 68.61 mm2. Thus, P. maximowiczii's leaf size is smaller than P. koreana. In addition, there were some trichomes on the vein and petiole of P. maximowiczii, but those haven’t been found on P. koreana. The matured capsule of P. maximowiczii was split into three, whereas P. koreana was split into four. Based on what was examined, the important factors in the classification of P. maximowiczii and P. koreana are leaf size, the style of capsule splits, trichomes on the vein the petiole.

목차
초록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1 식물재료
  2 외부 형태학적 분석
  3 수리 분류학적 분석
 결과 및 고찰
  1 외부 형태학적 연구
  2 수리 분류학적 연구
  3 고찰
 References
저자
  • 김형매(전북대학교 조경학과) | Xinmei Ji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 김영설(강원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Youngsol Kim (Dept. of Econixe Co., Lt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