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면봉산 신갈나무림 목본식생의 변화에 관한 연구 KCI 등재

Study for Change of Woody Vegetation in Quercus mongolica Forest, Mt. Myeonbong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7026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1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본 연구는 면봉산 일대의 장기모니터링을 위한 고정조사구의 목본류 임분동태를 해석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본 연구대상지는 1 ha의 조사구 내 10×10 m의 소조사구 100개소를 설치하여 흉고직경 2㎝이상의 목본류 개체를 중심으로 흉고직경, 수고 및 공간좌표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대상지의 목본식물의 흉고직경급은 역J자형이며, 2~6 ㎝의 개체수가 증가하는 경향으로 조사되었다. 흉고단면적은 2014년 33.22 ㎡/ha에서 2018년 34.25 ㎡/ha로 조사되어 증가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주요 수종의 공간분포는 대부분 집중분포하는 경향으로 분석되었다. 중요치 분석결과 상층부를 우점하는 소나무, 신갈나무는 감소하고 중층의 쇠물푸레나무는 증가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stand dynamics of long term monitoring sites in Mt. myeonbong. Study site, made up of 100 subplots (10×10 m, 1 ha) was constructed and there were measured Diameter at Breast Height (DBH, ≧2 cm), height and spatial coordinates for woody plants in study site. DBH distribution was inverse J shape, and 2~6 cm DBH class of trees were increased pattern. Basal area (m2/ha) were became from 33.22 m2/ha (2014) to 34.25 m2/ha (2018) and spatial distributions of major species were resulted in clumped distribution. Results of importance percentage, Quercus mongolica and Pinus densiflora dominated in upper layer were being decreased, however Fraxinus sieboldiana, composed mostly of middle layers were the opposite result.

목차
초록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1 조사 방법
  2 분석 방법
 결과 및 고찰
  1 흉고직경급 변화
  2 흉고단면적
  3 중요치 분석
  4 고사량 및 이입량
  5 주요 목본류의 공간분포분석
 결론
 References
저자
  • 박병주(국립백두대간수목원 백두대간종보존실) | Byeong Joo Park (Baekdudaegan Biodiversity Conservation Division, Baekdudaegan National Arboretum)
  • 변준기(국립백두대간수목원 백두대간종보존실) | Jun Gi Byeon (Baekdudaegan Biodiversity Conservation Division, Baekdudaegan National Arboretum)
  • 후완빈(경북대학교 임학과) | Huwanbin (Department of Forestry, Colleg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부토토(경북대학교 임학과) | Butoto Imani Wa Rusaati (Department of Forestry, Colleg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천광일(국립생태원 식물관리연구실) | KwangIl Cheon (Division of Botanic Reserch and Management,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