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제4형 고지단백혈증 산모에서 발생한 급성 췌장염 KCI 등재 SCOPUS

Acute Pancreatitis in a Pregnant Patient with Type IV Hyperlipoproteinemia

  • 언어ENG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7032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대한췌담도학회지 (Korean Journal of Pancreas and Biliary Tract)
대한췌장담도학회(구 대한췌담도학회) (Korea PancreatoBiliary Association)
초록

고중성지방혈증에 의한 임신성 췌장염의 대부분은 고지혈증 환자가 임신으로 인하여 과체중이 되거나 중성지방과 관련된 이차적인 인자를 가질 때 발생한다. 지금까지 국내에서 고중성 지방혈증에 의한 임신성 췌장염은 6예가 보고되었으나 그중 중성지방 수치가 1,000 mg/dL 이하인 적은 없었다. 임신 30주된 36세 여성이 상복부 통증을 주소로 입원하였다. 말초혈액 검사에서 중성지방 수치는 260 mg/dL, 아밀라아제 수치는 2,951 U/L, 리파아제 수치는 3,500 U/L였다. 복부 초음파 검사에서 저에코성 rim을 동반한 췌장의 부종이 관찰되었다. 며칠 후, 환자는 퇴원하여 임신 38주에 정상 분만을 하였다. 지단백질 전기 영동 결과는 IV형 고지단백혈증과 일치하였다. 이 증례보고는 이전에 보고된 고중성 지방혈증에 의한 임신성 췌장염과 달리, 중성지방 수치가 500 mg/dL 미만이지만, IV형 고지단백혈증의 존재시 발생한 급성 췌장염을 처음으로 보고한 것이다.

Most cases of hypertriglyceridemia (HTG)-induced gestational pancreatitis occur when a person with hyperlipidemia is overweight due to pregnancy or has secondary triggers associated with triglycerides (TGs). In Korea, 6 cases of HTG-induced gestational pancreatitis have been reported, but none of the affected patients had TG levels below 1,000 mg/dL. A 36-year-old female at 30 weeks of gestation was admitted due to pain in her upper abdomen. Initial biochemical analysis revealed a TG level of 260 mg/dL, an amylase level of 2,951 U/L and a lipase level of 3,500 U/L. Abdominal ultrasonography showed pancreatic swelling with a hypoechogenic rim. After several days, the patient was discharged and had a normal delivery at 38 weeks of gestation. This case report is the first to describe acute pancreatitis occurring in the presence of type IV hyperlipoproteinemia even though the TG level was less than 500 mg/dL, contrary to findings in previously reported cases.

목차
INTRODUCTION
 CASE
 DISCUSSION
 요 약
 REFERENCES
저자
  • 이상호(을지대학교 의과대학 을지대학교병원 내과) | Sang Ho Le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Eulj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전제혁(을지대학교 의과대학 을지대학교병원 소화기내과) | Jae Hyuck Jun (Department of Gastroenterology, Eulj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Corresponding author
  • 도영석(을지대학교 의과대학 을지대학교병원 소화기내과) | Young Seok Doh (Department of Gastroenterology, Eulj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장지웅(을지대학교 의과대학 을지대학교병원 소화기내과) | Ji Woong Jang (Department of Gastroenterology, Eulj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김새희(을지대학교 의과대학 을지대학교병원 소화기내과) | Sae Hee Kim (Department of Gastroenterology, Eulj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백일현(을지대학교 의과대학 을지대학교병원 소화기내과) | Il Hyun Baek (Department of Gastroenterology, Eulj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정성희(을지대학교 의과대학 을지대학교병원 소화기내과) | Sung Hee Jung (Department of Gastroenterology, Eulj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