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해방 후 서울지역 교회 공간 활용: 정동제일교회를 중심으로 KCI 등재

A Study on Utilization of Church Space in Seoul after Liberation: Focused on First Church, Chong Dong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70384
  • DOIhttps://doi.org/10.22254/kchs.2019.52.03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韓國敎會史學會誌 (한국교회사학회지)
한국교회사학회 (The Church History Society in Korea)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교회 공간 활용을 분석하여 지역교회가 사회와 무엇을 공유하고 영향을 끼쳤는지를 밝히는데 있다. 이 목적을 위해 정동제일 교회를 택하여 해방 후 교회 공간이 어떻게 활용되었는지 신문, 보고서, 기사 등을 분석하였다. 여기에서 공간은 단지 물리적인 공간만이 아닌 인간의 활동과 공간적인 실천이 결합된 공간을 의미한다. 이것을 “사회적 공간”(social space)으로 부른다.
해방공간에서 다양한 단체와 기관들은 자신들의 활동을 위하여 공간이 필요했다. YMCA나 학교강당, 천도교 강당 등은 실내공간으로 선호도가 높았다. 특히 교회건물은 예배공간만이 아닌 다양한 활동 공간으로 사람들에게 제공되었다. 서울에 위치한 정동제일교회는 수도권에서 많은 사람들이 선호한 공간이었다.
김인영 목사가 재직하던 시기를 전후로 공간 활용도가 더욱 높았다. 그는 일제 강점기에 신흥우와 함께 YMCA와 적극신앙단에서 활동했으며, 해방 후에는 한국기독교연합회에서 활동했다. 기독교 정신 위에 대외적으로 활동했던 그의 행동은 정동제일교회 공간에서도 그대로 투영되었다. 비록 친일행적을 계기로 이전처럼 정치 일선에 나서지는 않았지만, 그는 시대적인 혼란을 극복하고 새로운 국가를 기대하며 시민사회에 공간을 제공하였다.
더 나아가 여러 시민단체들은 세계정세를 파악할 수 있도록 세계적인 석학이나 종교지도자들을 초청하여 시민들의 의식을 함양시켰다. 교회는 시민들의 다양한 욕구들 즉 문화적인 것, 경제적인 것, 결혼식과 장례식 등의 일상적인 것들을 위하여 공간을 제공하였다. 이것은 교회가 시민들의 생각과 욕구를 공유했음을 의미한다. 특히 이승만과 관련된 단체들에게 결집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함으로 그의 정치활동을 지원하였다. 반탁과 관련된 집회와 강좌는 서울지역의 우파를 결집시켰고, 전국대회를 성공적으 로 개최한 독촉국민회는 1948년 제헌국회에서 다수당이 되어 정국을 주도 하였다.
정리하면 정동제일교회 공간은 사회적 관심을 공유하는 것을 넘어서 새로운 국가 건설을 세우는데 그 힘을 결집시키는데 영향을 주었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use of church space to identify what the local church had shared and influenced with society. For this purpose, I selected First Church, Chong Dong and analyzed newspapers, reports and articles to identity how to use church space after liberation. Here space was not just a physical space, but a space where human activity and spatial practice are combined. This was called the “social space”.
In the liberation space, various organizations and institutions needed space for their activities. YMCA, school auditorium, and Chondogyo auditorium were highly preferred as indoor space. Especially church buildings were provided for people not only in worship space but also in various activities. First Church, Chong Dong in Seoul was a favorite place for many people in the metropolitan area.
Space utilization was even higher around the time when Rev. In-Young Kim was in office. He worked with Heung-Wu Cynn in the YMCA and Juk-Kuk-Dan during the Japanese rule, and after liberation he was a member of the Korean Christian Association. His attitude, which acted externally on the Christian spirit, was projected in First Church, Chong Dong. His attitudes of participating in outside activities on the Christian spirit were also showed in First Church, Chong Dong. Even though he did not participate in politics as before, to overcome the period confusion and hope for a new nation he provided a space for Christian’s organizations, political organizations and civil societies.
Furthermore, various NGOs invited world-class scholars and religious leaders to grasp the world situation and cultivate the citizens' consciousness. The church had provided space for the various needs of the citizens: cultural, economic, and everyday things such as marriage or gathering. This means that the church had communicated and shared ideas with its citizens. In particular, it supported Rhee’s political activities by providing a space where he could mobilize groups related to him. The meetings and lectures related to the council concentrated on the Right of Seoul, and the National Society for Rapid Realization of Korean Independence, which held the national convention, became the majority party in the constitutional assembly in 1948, leading the government.
In summary, it is meaningful that First Church, Chong Dong’s space not only shared social interest, but also influenced the right wing to build a new nation.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해방 후 정동제일교회와 김인영 목사
 Ⅲ. 정동제일교회 공간 활용
  1. 기독교 연합활동 공간
  2. 정치단체활동 공간
  3. 시민사회활동 공간
 Ⅳ. 마무리하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국문초록
저자
  • 장금현(서울신학대학교) | Geumhyun Jang (Seoul Theologic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