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Rasch 모형을 활용한 예비 국어 교사 대상의 국어과 수업 실연 평가 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Scoring Rubric for Performance Assessment of Teaching Practice Test Tool of Pre-service Teachers in Korean Language Classes using Rasch Model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70426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교원교육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Center For Education Research)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다국면 Rasch 모형을 활용하여 타당성과 신뢰성을 갖춘 국어과 수업 실연 평가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수업 실연 평가의 준거는 수업 전문성에 대한 개념과 수업 평가 관련 선행 연구들을 토대로 하여 ‘학습 목표와 교수-학습 과정의 연계성’, ‘교실 상호작용’, ‘교사의 언어· 행동 자질’의 3가지 하위 요인을 선정하고 그에 따른 14가지 준거의 5점 척도 평가 도구를 개발하였다. 중등 예비 국어 교사 대상의 수업 실연 평가 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국어교육과 2학년 재학생 11명을 대상으로 현직 국어 교사 4인이 수업 실연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는 다국면 Rasch 모형을 근거로 제작된 Facets Minifac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수업 실연 평가에 나타난 평가자의 엄격성 차이는 –1.34 ~ -.99 logit까지로 통계적으로 유의했으며 평가자간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평가자 내 일관성은 내적합도 기준(0.5~1.5 logit)에 따라 적절한 점수를 부여하고 있음을 보였다. 수업 실연 평가 범주별 타당성에 대한 분석 결과, 난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p<0.04) 피험자가 느끼는 곤란함은 모든 평가기준에서 동일하였다. 평가자와 평가기준의 편향을 분석한 결과 유의미한 편향은 도출되지 않아 평가 기준을 해석 및 적용하는 기준이 신뢰할 수 있음을 밝혔다. 평가 도구 5점 척도 적합도를 분석한 결과 2점 척도의 적합도에 다소 문제가 있으나 피험자와 평가자 수가 극히 제한적이었으므로 추후 피험자 수를 확대하여 추가 검증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국어 수업 실연의 신뢰할 수 있는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수업 실연 평가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함으로써 예비 국어 교사의 수업 전문성을 신장하고 학교 교육의 질적 제고를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validated and reliable Korean language classroom performance evaluation tool using a multi-stage Rasch model. The criterion for classroom performance evaluation was selected based upon the concept of ‘class expertise' and previous research carried out concerning class evaluation. As a result, we selected three sub-factors: ‘linking learning objectives with teaching - learning processes', ‘classroom interaction', and the ‘language and behavior characteristics of teachers'. Motivation induction, presentation of learning goals, consistency of learning goals and contents, appropriateness of learning activities, explanations and demonstrations, footprints, inducing student interests, data utilization, evaluation, strengthening and feedback were examined. The ability to cope and the use of the classroom were also addressed. Four Korean language teachers were evaluated on their performanc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11 students in the second grade were also involved in this research.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Facets Minifac, which was based on the multi-stage Rasch model.

목차
요 약
 Ⅰ. 들어가는 말
 Ⅱ. 이론적 배경
  1. 수업 전문성
  2. 예비 국어 교사의 수업 전문성 준거
  3. 예비 국어 교사의 수업 전문성에 따른 수업 실연 평가 준거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수업실연의 평가 도구
  3. 연구 절차
  4. 분석 방법
 Ⅳ. 연구결과
  1. 수업 실연 평가에 나타난 평가자의 엄격성 및 일관성
  2. 수업 실연 평가 범주별 타당성 분석
 Ⅴ. 결과 및 논의
 References
 Abstract
저자
  • 진수민(광주전남여자고등학교) | Jin Su Min (Gwangju Chonnam High School)
  • 최숙기(한국교원대학교) | Choi Sook Ki (Korea National Univercity of Education) 교신저자
  • 김형성(부산반여고등학교) | Kim Hyung Sung (Busan Banyeo High School)
  • 김지수(광주예술고등학교) | Kim Ji Soo (Gwangju Arts High Scho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