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뇌졸중 환자의 직업복귀를 제한하는 요인 분석: ICF 기반으로 KCI 등재

Analysis of Factors Restricting Return to Work for Stroke: Based on ICF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7309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대한작업치료학회지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대한작업치료학회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초록

목적 : 지역사회 거주하는 뇌졸중 환자들을 대상으로 ICF core set-vocational rehabilitation을 사용하여 직업복귀를 제한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 2017년 7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전국에 지역사회 거주하고 있고, 기관에 외래치료를 받으러 다니는 무직인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ICF core set-vocational rehabilitation 및 Kim(2007)의 설문지를 수정 보완하여 평가하였다. 총 200부 설문지 중 144부(72.00%)를 수거 하였다.
결과 : 뇌졸중 환자들의 직업복귀를 제한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활동과 참여 영역 요인들과 상관관계 를 보였던 요인들을 비교하였을 때, b1(정신 기능), b7(신경근육 골격 및 운동과 관련 기능), e3(지원과 관계) 요인에서 모두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 뇌졸중 환자들의 직업복귀를 통해 지역사회 참여를 이끌어 내기 위해서는 가족, 치료사 및 사회적 지지와 응원을 바탕으로 신체적, 정신적 기능향상을 시킬 수 있는 작업치료의 중재가 필요한 것을 확인 하였다.

Objective: This study analyzes factors restricting return to work using ICF core set-vocational rehabilitation for stroke patient living in the community.
Methods: Questionnaires used ICF core set-vocational rehabilitation modified questionnaires used by Kim(2007). Two hundred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144(72.00%) were collected.
Results: When we compared factors related activity and participation factors to analyze restricting stroke patients' return to work, found a positive correlation in b1(mental function), b7(neuromuscular skeleton and motor related function), e3(support and relationship).
Conclusion: To induce community participation via return to work of stroke patients,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s to improve patients’ physical, mental function based on family, therapist and social support and encouragement are necessary.

목차
국문초록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자료 수집 절차
  3. 연구 도구
  4. 분석 방법
 Ⅲ. 연구 결과
  1. 대상자의 특성
  2. ICF 요인별 상관관계
  3. 직업의 욕구, 직업의 필요성, ICF 요인들간의 상관관계
  4. 참여를 제한하는 데 미치는 요인
  5. 직업복귀를 제한하는 요인
 Ⅳ. 고 찰
 Ⅴ. 결 론
 References
 Abstract
저자
  • 남지혜(건양대학교 일반대학원 작업치료학과) | Nam Ji-Hye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The Graduate School, Konyang University)
  • 김수경(건양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Kim Su-Kyoung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Konyang University)
  • 이재신(건양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Lee Jae-Shin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Konyang University)
  • 차태현(건양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Cha Tae-Hyun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Konyang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