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태백산국립공원 백두대간 생태축 연결을 위한 평가항목 및 가중치 설정 KCI 등재

Evaluating the Criteria and Weight Value for Ecological Network Connectivity of Baekdudaegan Mountain Range on Taebaeksan National Park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7316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본 연구는 태백산국립공원 백두대간 생태축 연결을 위한 평가항목 및 요인별 가중치 설정을 위해 공원관리와 생태계 조사, 생태환경계획과 관련된 분야별 전문가 대상의 설문조사를 토대로 계층화 분석을 실시하였다. 문헌연구와 담당자 면담조사로 생태축 연결을 위한 상위 평가지표 4개와 하위 평가지표 13개를 선정하였으며, 일관성 분석에 의한 유효 설문을 대상으로 항목별 가중치를 산정하였다. 분석결과, 상위평가 지표에서는 생태계 가치증진이 0.474로 가장 높고, 자연-인간 갈등완화(0.247), 지역주민의 참여(0.165), 경제적 측면(0.114) 순으로 나타났으며, 하위 평가지표에서는 생물이동경로(0.116), 경관생태적 패치 연결성(0.112), 기능적 서식지(0.099) 등이 중요 항목으로 추출되었다. 분야별 평가항목과 가중치 비교에 따르면 생태계조사 분야에서는 생물종 이동경로(0.116)을 가장 중시하는 반면, 공원관리 분야에서는 기능적 서식지가 0.110로 가장 중요한 항목으로 평가되었으며, 생태환경계획 분야에서는 지역의 보전 및 이용자원 분포현황이 0.123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태백산국립공원 일대의 생태축 연결에 필요한 조사항목의 선정이나 분야별 연결성 분석방향 설정에 기여할 것이다.

This study conducted a hierarchy analysis based on a questionnaire survey of experts in park management, ecosystem survey, and ecological environment planning to establish evaluation items and a weighing value of each item to develop ecological connectivity in Baekdudaegan mountain range neighboring the Taebaeksan National Park using the AHP approach. We selected four high-level evaluation indexes and 13 low-level evaluation indexes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interview with the people in the field and calculated weights for each question through the consistency analysis. The analysis showed that increasing the ecological value was the most important item with the index of 0.474 among the high-level evaluation items, followed by the mitigation of human-nature conflict at 0.247, participation by local residents at 0.165, and the economic perspective at 0.114. Among the low-level evaluation indexes, the movement route of wildlife was the highest at 0.116, followed by the connectivity of landscape ecological patch at 0.112, and functional habitat at 0.099. The comparison of the evaluation items in each working group and the weight factors showed that the movement route of wildlife was the most important at 0.116 in ecosystem survey, the functional habitat was the most important at 0.110 in park management, and the regional preservation and distribution of resources was the most important at 0.123 in ecological environment plann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useful to identify evaluation items for developing ecological network with a diverse source of the actual environmental data in the Taebaeksan National Park.

목차
요 약
 ABSTRACT
 서 론
 연구방법
  1. 연구지역
  2. 평가항목 선정 및 가중치 설정
 결과 및 고찰
  1. 설문결과 개요
  2. 평가항목별 가중치
  3. 평가항목 가중치 비교분석
  4. 목표종 선정
 결 론
 REFERENCES
저자
  • 신지훈(계명대학교 대학원 환경과학과) | Geehoon Shin (Dept. of Environmental Science, Keimyung Univ.)
  • 김혜리(국립공원공단 국립공원연구원) | Hye-Ri Kim (Korea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Korea National Park Service)
  • 장수림(국립공원공단 보전정책부) | Su-Rim Jang (Conservation Policy Division, Korea National Park Service)
  • 김학윤(계명대학교 환경학부) | Hak-Yoon Kim (Faculty of Environment, Keimyung Univ.)
  • 노백호(계명대학교 환경계획학과) | Paikho Rho (Dept. of Environmental Planning, Keimyung Univ.)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