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출소자의 낙인이 사회적 지지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KCI 등재

Effects of Stigma of Released Convicts on Social Support: Focusing on Mediation Effect Resilienc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7359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400원
矯正硏究 (교정연구)
한국교정학회 (Korean Society For Correction Service)
초록

본 연구는 출소자의 낙인이 사회적 지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실증적인 인과관계를 규명하고, 두 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 였다. 선행연구들은 낙인을 다양한 요인들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Phillips(2016)의 견해를 기초로 하였으며, 낙인의 하위척도로는 대중낙인, 개인낙인, 자기낙인으로 구분하였다. 그는 출소자들에게 자기낙인이 대중낙인에 비해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에서도 일치되는 연구결과로 나타났다.
통계분석 결과, 첫째, 모형1에서 통제변수로 인구통계학적 변인을 투입한 결과 최종 학력, 주거, 수입이 가족의 사회적 지지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직장동료의 사회적 지지에는 성별이 부적(-) 영향을 미쳤고, 주거, 최종학력은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모형2는 모형1에 위험요인인 자기낙인, 개인낙인, 대중 낙인을 추가로 투입하여 설명력을 높였으며, 그 결과 개인낙인과 대중낙인에 비해 자기낙인이 사회적 지지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자기낙인은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인 가족과 직장동료 모두에서 부적(-) 영향을 보이는 것으 로 나타났다. 셋째, 모형3은 모형2에 보호요인인 통제성, 긍정성, 사회성을 추가적으로 투입하여 분석한 결과, 회복탄력성 하위요인인 통제성은 직장동료의 사회적 지지에, 긍정성은 가족의 사회적 지지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약하면, 출소자에 대한 사회적 지지가 재범을 억제하는데 영향을 준다는 점을 고려할 때, 출소자에게 사회적 지지 기반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들은 매우 의미 있는 작업이라 할 것이다. 특히, 출소자의 행동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주요타자인 가족 또는 직장동료의 사회적 지지 강화를 위한 맞춤형 프로그램의 개발 등이 요청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mpirical causal relationship between offender stigma and social support,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on the two variables. Although previous studies have used stigma as various factors, this study is based on the opinion of Phillips(2016), The sub-scales of stigma were classified as public stigma, personal stigma, and self-stigma. He asserted that the stigma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stigma,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a result of statistical analysis, Frist, in Model 1 demographic variables were used as control variables and the final education, housing and income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family’s social support, In the social support of work colleagues, gender showed negative(-) effect and final academic ability had a positive(+) influence. Second, Model 2 increased the explanatory power of Model 1 by adding self-stigma, personal stigma, and popular stigma, which are risk factors, As a result, self-stigma has negative(-) effect on social support as compared to personal stigma and popular stigma, This self-stigma showed negative(-) effcts on both family and work colleagues, which are sub-factors of social support. Third, In the Model 3 the control factor positive and social factors, which are protective factors are added to the Model 2 as a result, the control factor, which is a sub-factor of resilience has a positive dffect on the social support of the work colleague.
In summary, given that social support for displaced persons has an impact on the suppression of recidivism, Efforts to strengthen the base of social support for displaced workers are very meaningful tasks. In particular, the development of programs for strengthening the social support of family or work colleagues, which are the major influencers most influencing the behavior of the ex-prisoners is required.

목차
국문요약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공정식(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 Gong Jungsik (department of Industrial-Educational Cooperation in Kyonggi University)
  • 방진희(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교정보호학과) | Bang Jinhee (Department of Correctional Protection of Students School in Kyonggi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