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국내에 서식하는 담수어류 4종에 대한 유영능력 평가 KCI 등재

Swimming Performance Evaluation of Four Freshwater Fish Species from the South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7418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생태와 환경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초록

어류의 유영능력은 어류의 생존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이다. 또한, 어류의 유영능력 측정값은 어도 설치 시 서식하는 종에 대한 기초자료, 생태 하천 복원 시 어류의 서식 및 산란장 조성, 생태유량 산정 시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담수어류의 유영능력에 대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거나, 부족한 면이 있기 때문에 어류의 유영능력이 고려되지 않은 상태에서 어도들이 설치되어 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금강 수역에서 서식하는 붕어 (Carassius auratus), 참갈겨니 (Zacco koreanus), 줄몰개 (Gnathopogon strigatus), 납자루 (Acheilognathus lanceolata intermedia) 를 대상으로 유영능력측정기 (Swim tunnel respirometer, Loligo® System)를 사용하여 돌진속도, 전진속도를 포함한 유영속도를 측정하였다. 종별 평균 돌진속도의 Ucrit (임계 유영속도) 값은 붕어 (C. auratus) 0.8±0.04 m s-1; 참갈겨니 (Z. koreanus) 0.77±0.04 m s-1; 줄몰개 (G. strigatus) 0.95± 0.04 m s-1; 납자루 (A. lanceolata intermedia) 0.73±0.03 m s-1으로 측정되었고, 각 종별 평균 전진속도의 Ucrit 값은 C. auratus 0.54 m s-1, Z. koreanus 0.67 m s-1, G. strigatus 0.7 m s-1, A. lanceolata intermedia 0.54 m s-1로 측정되었다. 본 실험에서 사용된 어류는 금강 수계에서 채집된 담수어류 중 4종만을 선정하여 실험이 진행되었기 때문에 한국의 전체 수계에 서식하는 해당 종을 대표하기에는 부족한 면이 있지만, 해당 수계에 서식하는 종의 특성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향후 국내에 서식하는 보다 다양한 담수어류에 대한 유영능력 평가가 필요하며, 이들 자료를 활용한 어도를 통한 하천의 연결성 확보가 요구된다.

Swimming performance of fish is an important factor in the survival of fish. Also, swimming performance of fish is used in the form of habitat, or as a condition to consider when creating a fish ladder. However in Korea, researches in swimming performance of Korean freshwater fish were scarce and inadequate in some part, thus fish ladders were installed without considering their swimming performance. Therefore, in this study, we measured swimming performance of 4 Korean freshwater fish species to consider importance of swimming performance test. The fish used in this study were Carassius auratus, Zacco koreanus, Gnathopogon strigatus, Acheilognathus lanceolata intermedia species which was collected during October to November, 2018 at Geum River, and measurement for swimming speed of each fish was done by using Loligo® System, swim tunnel respirometer in January to February of 2019. The average value of the burst critical swimming speed (Ucrit) for each species was 0.8±0.04 m s-1 for C. auratus, 0.77±0.04 m s-1 for Z. koreanus, 0.95±0.04 m s-1 for G. strigatus, 0.73±0.03 m s-1 for A. lanceolata intermedia and the average value of prolonged critical swimming speed was 0.54 m s-1 for C. auratus, 0.67 m s-1 for Z. koreanus, 0.7 m s-1 for G. strigatus, 0.54 m s-1 for A. lanceolata intermedia. Since the fish used in this experiment were collected from a small part of the water system in Korea and there were only 4 species, they were not enough to represent the species that inhabit the entire Korean water system. It will be necessary to continue evaluating the swimming performance of other freshwater species in Korea.

목차
Abstract
 서 론
 재료 및 방 법
  1. 어류 채집
  2. 유영능력 측정 방법
 결과 및 고 찰
  1. 각 종별 임계유영속도 (Ucrit)
  2. 각 종별 전장대비속도 (TL s-1)
 적 요
 REFERENCES
저자
  • Bold Misheel(공주대학교 생물교육과)
  • 김규진(공주대학교 생물교육과) | Kyu-Jin Kim (Department of Biology Educ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 민건우(공주대학교 생물교육과) | Kun-Woo Min (Department of Biology Educ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 장민호(공주대학교 생물교육과) | Min-Ho Jang (Department of Biology Educ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