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영유아기 부모코칭역량 척도 개발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Parent Coaching Capability Scale for in Infants and Young Childre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7427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500원
코칭연구 (Journal of Korean Coaching Research)
한국코칭학회 (The Korean Association of Coaching)
초록

본 연구는 영유아기 부모의 코칭역량척도 개발을 목적으로 부모코칭역량의 구성요인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척도문항을 구성하여 타당화 검증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고찰 및 부모코칭 경험이 풍부한 전문가 조사를 통해 구성요인을 도출 하여 180문항을 구성하였고, 2차례에 걸친 내용타당도 검증을 통해 구성된 65문항을 영유아기 부모 11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계수를 구하여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사회적 역량, 의사표현 역량, 의사존중 역량, 자기성장 역량, 성장촉진 역량, 관계 형성 역량의 6개 하위 구성요인, 32문항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영유아기 부모의 코칭역량 척도 타당화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것이며, 이는 자녀를 양육하는 보호자들의 부모코칭역량을 측정하여 코칭역량의 효과성을 위한 중요한 도구로 활용될 것이다. 또한, 부모들의 코칭역량을 점검하여 부모역할지원과 부모교육 자료 기초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components of parent coaching capacity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and establishing a coaching capacity scale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and provides basic data for validation verification. 180 questions were derived from expert’s surveys with prior research and parent coaching experience, and 65 questions were conducted through two validations of content feasibility. The collected data were verified b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coefficient.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six sub-constitutive factors: social competence, communication capacity, listening-oriented capacity, self-growth capacity, growth promotion capacity, and relationship formation capacity, 32 questions.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validating the coaching capacity scale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Thus, it is meaningful to check the coaching capacity of parents and to provide parent role support and a parent education data base.

목차
Ⅰ. 서론
 II. 이론적 배경
  1. 부모역량
  2. 코칭역량
  3. 부모코칭역량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절차
  3. 자료분석방법
 IV. 연구결과
  1. 부모코칭역량척도 구성요인
  2. 문항개발 결과
 IV.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Abstract
저자
  • 도미향(남서울대학교대학원 아동복지학과) | Do Mi-Hyang (Department of Child Welfare, Namseoul University)
  • 김근주(남서울대학교대학원 아동복지학과 영유아교육보육전공) | Kim Kun Joo (Department of Child Welfare, Namseou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 이경주(남서울대학교대학원 아동복지학과 영유아교육보육전공) | Lee Gyeong Ju (Department of Child Welfare, Namseou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