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과학교육에서의 다문화적 맥락을 중심으로 한 캐나다와 한국의 초등과학과 교육과정 비교 분석 KCI 등재

A Comparative Analysis of Canadian and Korean Elementary Science Curricula Focusing on Multicultural Contexts in Science Educ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75879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교원교육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Center For Education Research)
초록

본 연구는 다문화 교육과정의 목표 및 과학교육 내용표준을 준거로 한 분석 기준을 개발하고, 다문화 맥락을 고려한 과학과 교육과정 분석 기준에 따라 캐나다 온타리오 주 2007 과학과 기술 교육과정 및 한국의 2009 개정 ‧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을 대상으로 초등학교 3~6학년의 과학 과 교육과정을 비교 ‧ 분석하였다. 개발한 분석 기준의 가로축은 다문화교육 통합의 접근의 4단계 인 기여 단계, 첨가 단계, 변형 단계, 사회 활동 단계로 구분되었으며, 세로축은 상황, 내용 요소, 성취기준 및 하위 요소로 구성되었다. 이 분석 항목에 근거하여 두 국가 교육과정 간의 비교를 수 행하였고, 과학과 교육과정의 목표, 교육내용 및 내용체계, 성취기준, 평가계획, 교수‧학습 방법 및 유의사항에서 다문화 맥락이 반영된 혹은 고려될 수 있는 사례를 찾아 사회 ‧ 문화적 배경과 다문 화 과학교육 관련 문헌에 근거하여 장단점과 개선 방안을 모색하였다. 온타리오주 과학과 기술 교 육과정에서는 학습자의 배경적 다양성을 존중하고 새로운 학습 환경에의 적응을 지원하는 방안과 상호문화교육의 관점에서 과학을 지도하도록 지침을 주고 있었다. 국내 과학과 교육과정에서는 다 문화 과학교육의 중요성이 명시되지 않았지만, 다양성을 존중하는 학습 자료나 다양한 사람들이 과학 활동 및 직업에 참여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방향으로 개선되고 다문화 과학교육의 명확한 방 향과 관점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문화 가정의 학생과 주류 집단 학생을 함께 지도할 수 있는 과학과 교육과정의 개발 혹은 재구성, 교육내용 개선에 도움을 주는 자료로서 활용 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framework focusing on multicultural contexts and science education contents, and to analyze 3rd to 6th grade elementary science curricula of the 2007 revised Ontario science and technology in Canada with the 2009 revised and 2015 revised national science curricular in Korea. The framework’s horizontal axis was divided into four levels: the contribution approach, the additive approach, the transformation approach and the social action approach, while its vertical axis was comprised of ‘situation’, ‘components’ and ‘performance.’ Based on the criteria, the author quantitatively compared the curricula of the two countries. Furthermore, examples concerned with multicultural contexts were discerned from the goals, expectations, strands, topics, assessment and other considerations for program planning in science. In the 2007 revised Ontario curriculum for science and technology, it clarified that the diversity of student cultural backgrounds should not only be respected and supported for adjustment to the new learning environment, but also that it should be considered as intercultural education perspectives. On the other hand, the 2009 revised and 2015 revised Korean national curriculum for science did not deliver on the importance of multicultural science education as written instructions.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Korean national curriculum for science needs to have learning materials showing respect for cultural diversity or diverse people working on scientific activities or careers. Moreover, definite directions and perspectives on multicultural science education should be established in the national science curriculum.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ful for the development, reconstitution, or improvement of science curriculum for teaching multicultural students concurrently.

목차
요 약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1. 분석대상
  2. 분석 기준의 개발 및 분석 절차
 Ⅲ. 연구결과
  1. 다문화 맥락을 고려한 과학과 교육과정 분석 기준 개발
  2. 개발한 분석 기준을 활용한 한국 및 캐나다 초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의 다문화 과학교육 내용 분석
  3. 한국 및 캐나다 초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의 구성에 따른 다문화 과학교육내용 비교
 Ⅳ. 결 론
 References
 Abstract
저자
  • 최영미(제주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 Choi Youngmi (Jeju Nation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