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노인의 빈곤이 우울과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f Poverty and Depression of the Elderly on Subjective Quality of Lif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7683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200원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Korean Academy of Practical Human Welfare)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Korean Academy Of Practical Human Welfare Practice)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한국복지패널 12차 데이터를 이용하여 노인의 주관적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인 빈곤과의 상호관련성을 살펴보고, 빈곤과 주관적 삶의 질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2017년에 공개된 제12차 한국복지 패널 데이터를 활용하였고, SPSS Statistics 22.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노인의 빈곤 수준이 주관적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빈곤과 주관적 삶의 질과의 관계를 우울이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즉, 소득 수준이 낮고 빈곤할수록 우울 수준이 높아지며, 우울이 높아질수록 노인의 주관적 삶의 질은 낮아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노년기의 주관적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개인의 소득 보장과 경제적 사회 안전망을 더욱 확고히 구축하고, 우울과 같은 정신건강을 향상시키기 위한 지역사회복지 차원에서의 개입 등 다양한 관점에서 통합적으로 접근해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terrelation between poverty and the main factor affecting the subjectiv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using the 12th data of the Korean Welfare Panel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overty and subjective quality of life. This study used the 12th Korean welfare panel data released in 2017 and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s 22.0.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level of poverty of the elderly affects subjective quality of life. Also, the relationship between poverty and subjective quality of life was proved to be partly mediated by depression. In other words, the lower the income level, the more depressed, the higher the level of depression, and the higher the depression, the lower the subjectiv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order to improve the subjectiv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individual income security, economic social safety net, and intervention in community welfare to improve mental health such as depression Suggesting an integrated approach.

목차
국문초록
 I. 서 론
 II. 연구방법
  1. 연구모형
  2. 연구대상
  3. 측정도구
  4. 자료분석방법
 III. 연구결과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기술통계
  3. 주요 변수 간 상관관계
  4. 분석결과
 IV. 결론 및 함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장신재(서울장신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Chang Cinjae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Seoul Jangsin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