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장애자녀를 둔 가족의 행복한 삶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Happy Life of a Families Who have the Disabled Child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7683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500원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Korean Academy of Practical Human Welfare)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Korean Academy Of Practical Human Welfare Practice)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자녀를 둔 가족의 행복을 종단적으로 탐색하고자 한다. 장애자녀를 둔 가족을 대상으로 행복한 삶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 횡단적 자료에 기반하고 있다는 점에서 장애인 가족의 행복에 대한 해석에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장애자녀를 둔 부모의 행복에 대해 종단적 분석을 통해 살펴보는 탐색적 시도를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장애자녀를 둔 가족 유형별 분포와 종단적 행복 수준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 과, 장애인 가구 유형은 단독가구(1인가구)의 급격한 증가(15.5%p 증가)와 2세대(6.2%p감소)와 3세대(5.6%p감소)의 감소하는 특징을 나타내었다. 또한, 가구유형별 행복 수준은 단독가구가 일관되게 행복 지수가 낮게 나타났다. 가족구성별 행복 수준은 초기 조부모의 행복 수준이 낮았으나 최근 가족구성원간 행복 수준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장애 자녀를 둔 가족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아 그를 통해 장애인 가족지원 사업이 진행되기를 희망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ally explore the well-being of families with disabled children. There were limitations in interpreting the happiness of disabled families, given that most studies of happy lives for families with disabled children were based on transversal data.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the happiness of parents with disabled children through a final analysis. To this end, we looked at the distribution by type of family with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 level of ultimate happiness. The study showed that the types of disabled households showed a rapid increase (15.5%p increase) in single households, a decrease in second generation (6.2%p reduction) and third generation (5.6%p reduction). In addition, the level of happiness for each type of household was consistently low for single households. The level of happiness among family members was low in early grandparents, but the level of happiness among family members has not shown any difference in recent years. We hope to find a factor that affects the well-being of families with disabled children and to carry out a family support project for the disabled through him.

목차
I. 서 론
 II. 이론적 배경
  1. 장애자녀를 둔 가족의 행복
  2. 장애인가족지원센터의 주요 사업
 III. 연구 방법
  1. 연구 자료
  2. 조작적 정의
  3. 분석 방법
 IV. 연구 결과
  1. 장애인 가구 유형
  2. 가구유형별 행복 수준
  3. 장애자녀를 둔 가족 구성원의 행복 수준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전동일(강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Chun Dong-Il (Dept. of Social Welfare, Kangwon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