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기초연금제도와 빈곤여성노인의 행복감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KCI 등재

The Basic Pension System and Happiness of the Elderly Women in Poverty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7821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000원
융합인문학 (Korean Journal of Converging Humanities)
한국융합인문학회 (Korean Association of Converging Humanities)
초록

본 연구는 기초연금제도가 빈곤여성노인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첫째, 빈곤여성노인의 현황을 파악하고, 둘째, 기초연금제도와 빈곤여성노인의 행복감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셋째, 기초연금제도와 행복감 사이에서 자기효능감이 갖는 효과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기초연금제도가 빈곤한 여성노인의 행복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5개의 도시 및 농어촌 지역에 거주하는 빈곤여성노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고, 그 중 293부의 유효표본을 선별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기초연금제도는 빈곤여성노인의 행복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초연금과 행복감 사이에서 자기효능 감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빈곤여성노인들을 위한 국가의 소득보장정책의 개선과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 빈곤한 여성노인들의 자기효능감을 증진 시킬 수 있는 종사자들에 대한 교육 및 프로그램의 신설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basic pension system on the happiness of the poor elderly women. First, the current status of the elderly women in poverty was analyzed.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basic pension system and happiness of the poor elderly women was analyzed. Third, effects of self-efficacy between basic pension system and happiness were examined. To examine a hypothesis that the basic pension system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f the poor elderly women, a survey was performed among elderly poor women living in five urban and rural areas. Among them, 293 copies of valid sampl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 shows that the basic pension system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happiness of poor elderly women, and the analysis reveals that there is a positiv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between the basic pension and happiness of poor elderly wome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it is required to improve the income guarantee policy for the elderly women in poverty and to establish education and programs for the workers in the social as they can improve the self-efficacy of the poor elderly women welfare practice field.

목차
I.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1. 여성의 노년기 빈곤
    2. 빈곤여성노인과 기초연금제도
    3. 빈곤여성노인과 행복감
    4. 빈곤여성노인과 자기효능감
Ⅲ. 연구설계
    1. 연구절차 및 분석틀
    2. 연구가설
    3. 분석방법
    4. 측정도구 – 신뢰성과 타당성
Ⅳ. 분석결과
    1. 상관관계분석
    2. 직접효과 검증
    3. 간접효과 검증
Ⅴ.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강미희(백석예술대학교) | Kang Mi-hee (Baekseok Arts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