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아동양육시설 생활지도원을 대상으로 한 양육기능강화 프로그램의 효과 KCI 등재

The Effectiveness of a Parenting Enhancement Program for Care Workers in Child Care Faciliti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7942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000원
코칭연구 (Journal of Korean Coaching Research)
한국코칭학회 (The Korean Association of Coaching)
초록

본 연구는 아동양육시설에서 아동을 양육하는 생활지도원들의 양육에 관한 자신감을 높이 고 스트레스 완화 및 정서조절능력에 도움을 주고자 양육기능강화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생활지도원 30명은 중재집단과 통제집단에 각 15명씩 배 정하였다. 중재집단에 포함된 생활지도원은 주 1회, 6회기로 구성된 양육기능강화 프로그램에 참여하였고, 통제집단에는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다. 조사도구는 요구도 조사를 위한 질문과 프로그램의 효과검증을 위한 생활지도원의 양육효능감, 양육스트레스 및 정서조절능력으로 구성되며, 모든 척도는 자기보고로 평가되었다. 프로그램 전후에 각 집단별 생활지도원의 양육 효능감, 양육스트레스 및 정서조절능력을 조사함으로써, 각 변인들의 사전-사후 조사 간 차이 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중재집단의 경우 생활지도원의 양육효능감과 정서조절능력은 긍정적 으로 향상되었고, 양육스트레스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통제집단의 경우는 양육효능 감은 긍정적으로 변화된 반면, 양육스트레스나 정서조절능력에서의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양육기능강화 프로그램이 생활지도원의 심리적 안정감과 더불어, 아동을 양육하 는 능력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a parenting function strengthening program and to examine its effectiveness in order to raise the self-confidence of the parenting function and to help parents with parenting stress and the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in child care facilities. Thirty care workers were randomly assigned to an intervention (n = 15) group and a control group (n = 15). Care workers in the intervention group participated in six weekly program sessions of strengthening the parenting function. The control group did not have any intervention.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the needs and assessment of the parenting efficacy, parenting stress and emotion regulation ability for the purpose of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vention program. All of the factors were evaluated by self-report measures. After termination of the program, differences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were analyzed for parenting efficacy, parenting stress, and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As a result, the level of parenting efficacy and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of the instructor of the intervention group improved positively and the parenting stress decreased. In the control group, parenting efficacy was changed positively, but there was no change in parenting stress and emotion regulation ability. This study confirms that there is a positive change in the ability of the parenting program for enhancing the child rearing ability and the psychological stability of care worke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설계 및 대상
    2. 연구도구
    3. 연구절차
    4. 자료분석
Ⅲ. 연구결과
    1. 양육기능강화 프로그램 구성을 위한 요구도 조사
    2.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Abstract
저자
  • 김민정(남서울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Kim Min-Jung (Department of Child Welfare, Namseou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