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고령자를 위한 일어서기 보조기기 개발 및 평가 KCI 등재

Development and Assessment of Stand-up Assistive Device for the Elderl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137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600원
대한작업치료학회지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대한작업치료학회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일어서기에 어려움을 가진 고령자를 비롯한 모든 사람들의 신체적 부담을 줄여주고 독립 적인 일상생활을 성취하기 위해 일어서기 능력이 저하된 고령자에게 사용이 쉽고 편리하고 안전한 일어서기 보조기기를 개발하고 사용에 대한 평가를 실시함으로써 사회적 참여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도구로서의 역할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 방법 : 본 연구에서는 기존 일어서기 보조기기의 문제점인 큰 부피, 무거운 중량 그리고 높은 가격 등을 최소화한 일어서기 보조기기를 개발하여 연구도구로 활용하였다. 개발된 일어서기 보조기기에 대한 평가를 위해 65세 이상의 노인 90명을 대상으로 Rapid Entire Body Assessment(REBA), 일어서기 단계별 수행도 및 운동기술능력 분석, Quebec User Evaluation of Satisfaction with assistive Technology (QUEST)를 평가도구로 활용하였다.
결과 : 개발한 보조기기 적용 전·후에 따른 일어서기 자세분석 결과 목, 몸통, 위팔, 아래팔 그리고 REBA 총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5). 보조기기의 적용 전·후에 따른 일어서기 단계별 수행도 분석 결과 1단계에서 6단계와 전체 단계 평균값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5), 운동기술능력에서는 유연성, 지속하기, 속도처리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5). QUEST를 활용한 사용성 평가 결과 모든 항목에서 ‘만족한다’이상의 긍정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결과를 통해 개발한 일어서기 보조기기가 근골격계 위험성이 높은 고령자에게 수행도 및 운 동기술의 향상뿐만 아니라 만족스러운 보조도구로써의 역할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추후 고령자뿐만 아니라 일어서기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다양한 사람들에게 보조기기를 적용함으로써 일상생활에서 겪을 수 있는 불편함을 해소하고 작업치료의 중재적 적용범위를 보다 확장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

Objective: The study aimed to propose the role of a newly developed Stand-up Assistive Device for the elderly to provide a comfortable, convenient, and safe way of standing from various sitting conditions.
Methods: A Stand-up Assistive Device was developed for research tool by overcoming such issues as heavy weight, bulky size and high costs. Total of 90 elderlies over 65 years old participated in the study to evaluate the developed device by administering Rapid Entire Body Assessment(REBA), sit-to-stand performance analysis(standing stages and motor skills) and Quebec User Evaluation of Satisfaction with assistive Technology(QUEST) which were used as assessment tools.
Results: Statistical significance(p<.05) were observed between with/without using developed device in the scores of REBA. Sit-to-stand performance analysis also revealed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mean score of stage 1 to stage 6 for the standing phase when the participants were standing with using the assistive device as compared to without using it(p<.05). It was also consistent for motor skills a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flows, endures, paces and mean score of motor skill between two conditions. The results of usability test revealed that the participants were positively responded ‘satisfactory’ or above in general. Conclusion: Stand-up Assistive Device developed in this study demonstrated certain advantages in terms of convenience, efficiency and safety when it is used for the elderly. It is recommended that developed device could be broadly applied to potential users who are having problems of standing up from various sitting situations.

목차
국문초록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일어서기 보조기기 개발
    3. 평가 도구
    4. 연구 절차
    5. 통계 분석
Ⅲ. 연구 결과
    1. 일어서기 보조기기 적용 전·후 일어서기자세분석(REBA)
    2. 일어서기 보조기기 적용 전·후 앉은 자세에서일어서기 수행분석
    3. 개발된 일어서기 보조기기 활용에 대한 사용성평가(QUEST)
    4. REBA, 일어서기 수행분석(일어서기 단계, 운동기술)과 QUEST에 대한 차이값의 상관관계
Ⅳ. 고 찰
Ⅴ. 결 론
References
Abstract
저자
  • 김희동(동신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Kim Hee-Dong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shin University)
  • 박제모(전남과학대학교 작업치료과) | Park Je-Mo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hunnam Techno University)
  • 황도연(순천향대학교 대학원 작업치료학과) | Hwang Do-Yeon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The Graduate School, Soonchunhyang University)
  • 김희영(호남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Kim Hee-Young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Honam University)
  • 이문영(호남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Lee Mun-Young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Honam University)
  • 이두표(호남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Lee Doo-Pyo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Honam University)
  • 박보라(우석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Park Bo-Ra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Woosuk University)
  • 정화식(동신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Jung Hwa-Shik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shin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