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DMSP-OLS 영상자료를 이용한 중국 접경지역 경제성장의 시・공간적 역동성 추정 KCI 등재

The Spatio-temporal Dynamics Estimation of Economic Growth in Border Regions, China, using DMSP-OLS imager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1519
  • DOIhttps://doi.org/10.16879/jkca.2019.19.2.06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500원
한국지도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한국지도학회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초록

1970년대 말부터 지속적인 대외개방정책을 펼쳐온 중국은 최근 들어 비약적 경제성장을 이룩하였으나, 불균등 성장에 의한 지역 간 경제개발 격차의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을 고려하여 본 연구는 DMSP-OLS 영상자료를 활용하여 중국 접경지역의 접경국가별, 권역별 및 도시별 경제성장의 시·공간적 역동성을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상호보정, 연내보정, 연간보 정 등 전처리 과정을 거친 영상자료로부터 빛합계지수를 도출하였다. 도시별 빛합계지수에 관한 변동계수, 연간성장률, 복합 연평균성장률의 시계열 추세와 빛합계지수 중심점의 시·공간적 변화패턴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중국 접경지역의 권역 간 경제개발 격차는 감소하였으나, 도시별 불균등은 여전한 문제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중국과 인접 국가 간 지정학적 관계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된다. 접경지역 경제성장의 시계열 변화를 최근까지 살펴보기 위해 향후 연구에는 2013년부터 제공되는 SNPP-VIIRS DNB 영상자료를 함께 활용해야 할 것이다.

China has opened its doors to foreign countries from late 1970s, and it has experienced tremendous economic growth in recent years. Meanwhile, an economic-development gap between regions has emerged to be a socio-economic issue in the nation.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spatio-temporal dynamics of economic growth, associated with Chinese border regions, using DMSP-OLS time-series imagery at the scales of neighboring countries, zones and cities. To do this, the sum of lights was calculated from the satellite images with inter-calibration, intra-annual calibration, and inter-annual calibration. In addition, subsequent spatio-temporal analyses were made on the basis of coefficient of variation, annual average growth rate, compound annual growth rate and SOL-weighted centroids. This study found the decrease of economic growth gap between border zones. On the contrary, it was also revealed that unequal city-level growth in economy still remains in border regions of China. Such a socio-economic problem might be influenced by geopolit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nation and neighboring countries. Both DMSP-OLS and SNPP-VIIRS DNB nighttime imagery would need to be incorporated in future research for making spatio-temporal analysis spanned to the most recent year.

목차
요약
Abstract
I. 서론
II. 연구지역 및 자료
    1. 연구지역 개관
    2. 연구 자료
III. 연구 방법
IV. 결과
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저자
  • 김민호(상명대학교 공간환경학부) | Minho Kim (School of Space and Environment Studies, Sangmyung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