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팔당호 난분해성 유기물에 대한 조류기원 유기물의 기여 KCI 등재

Algal Contribution to the Occurrence of Refractory Organic Matter in Lake Paldang, South Korea: Inferred from Dual Stable Isotope (13C and 15N) Tracer Experimen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152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생태와 환경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한국하천호수학회 (The Korean Society Of Limnology)
초록

효과적인 물환경관리계획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기원의 유기물이 난분해성 유기물 농도 증가에 영향을 줄 수 있는지 여부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상당량의 광합성 산물은 식물플랑크톤에 의해 매일 생성되고 있지만, 이들이 수계 내 난분해성 유기물에 기여하는지에 대한 정보는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13C 및 15N 추적자 첨가 실험을 통해 조류기원 유기물이 생분해 (60일, 암배양) 및 산화제 (과망간산칼륨) 처리 후 분해되지 않고 잔존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생분해 실험 결과 광합성을 통해 생성된 총 유기탄소 (TO13C), 입자성 유기탄소 (PO13C), 입자성 질소 (P15N)는 각각 26%, 20%, 17%가 비 생분해성 유기물로 잔존하였다. 또한 상당량의 PO13C가 과망간산칼륨에 의해 산화되지 않고 잔존하였다 (초기: 12%, 60일 암배양 후: 38%). 이는 미생물에 의해 사용된 후 남아있는 조류 기원 유기물이 난분해성 유기물에 기여할 수 있음을 의미 한다. 또한 미생물에 의해 변형된 조류기원 유기물의 양은 COD 산화율 및 유기물 지표 간 격차에 영향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While a fairly large amount of organic matter is produced daily via phytoplankton photosynthesis in Lake Paldang, South Korea, knowledge of the role of algal-derived organic matter (OM) as a refractory OM source is not adequate. To understand the contribution of algal-derived OM to the refractory pool, biodegradation experiment and KMnO4 oxidation experiment were conducted for 60 days using 13C and 15N labeled natural phytoplankton assemblage. The assemblage was collected from Lake Paldang on May 20, 2010. The photosynthetically produced total organic carbon (TO13C), particulate organic carbon (PO13C), and particulate nitrogen (P15N) remained at 26%, 20%, and 17% of the initial concentrations, respectively, in the form of non-biodegradable organic matter. In addition, 12% and 38% of PO13C remained after KMnO4 treatment on Day 0 and 60,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hotosynthetic products could be an important source of refractory organic matter after microbial degradation. Moreover, the microbially transformed algal-derived OM could contribute to the oxidation rate of the chemical oxygen demand.

목차
Abstract
서 론
재료 및 방법
    1. 시료채취 및 배양실험
    2. 산화제 (KMnO4) 처리실험
    3. 시료분석 및 자료처리
결 과
    1. 1차생산력
    2. 장기 암배양 실험 동안 유기물의 농도변화
    3. 산화제 처리 (KMnO4) 후 남아있는 유기물의 농도변화
고 찰
    1. 장기 암배양 실험을 통한 난분해성 유기물에 대한조류기원 유기물의 기여 규명
    2. 산화제 처리를 통한 난분해성 유기물에 대한 조류기원유기물의 기여 규명
적 요
REFERENCES
저자
  • 이연정(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생태연구센터) | Yeonjung Lee (Marine Ecosystem Research Center,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 Technology)
  • 하선용(극지연구소 극지해양과학 연구부) | Sun-Yong Ha (Division of Polar Ocean Sciences, Korea Polar Research Institute)
  • 허진(세종대학교 환경에너지공간융합학과) | Jin Hur (Department of Environment, Energy & Geoinformatics, Sejong University)
  • 신경훈(한양대학교 해양융합과학과) | Kyung-Hoon Shin (Department of Marine Science and Convergence Engineering, Hanyang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