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담수생태계 특성을 고려한 동물플랑크톤 정량 조사법의 비교와 활용 KCI 등재

Quantitative Zooplankton Collection Methods for Various Freshwater Ecosystems and Their Application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153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600원
생태와 환경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초록

동물플랑크톤은 식물플랑크톤 및 기타 소형 미생물을 섭식하고, 고차 생물군집에 포식되어 일차생산과 상위 영양단계를 연결하는 중추적인 연결고리 역할자로 수생태계 내 물질 및 에너지 순환 구조와 기능을 이해하는데 필수적인 요소로 여겨지고 있다. 하지만, 동물플랑크톤은 분류군에 따라 상이한 크기와 유영능력, 그에 따른 다양한 서식 특성을 가지고 있어, 식물플랑크톤에 비해 다소 복잡한 채집 및 분석방법이 요구된다. 정확한 동물플랑크톤 정량화를 위해서는 종특이적인 분포를 고려하여 장소를 선정하 고 적합한 도구 (채수기, 플랑크톤 네트 등)를 이용하여 시료를 채집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동정 및 계수 중에 발생 할 수 있는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고정법과 부차시료에 대한 고려도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동물플랑크톤 정량채집방법 및 시료처리방법의 장·단점을 소개하여 연구 목적에 부합하는 방법을 선택, 적용할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Zooplankton is essential biological assemblage in understanding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aquatic ecosystems, since it plays as a linkage between primary producers and higher trophic level organisms such as fish. Although zooplankton has planktonic characteristics, the sampling and treatment methods for its community analyses are more complicated and variable compared with phytoplankton due to its high diversity in body size and species-specific depth selection behaviors. In the present paper, we reviewed representative classical methods for field sampling and treatments of freshwater zooplankton in relation with quantification of its community structure, and suggested appropriate methods depending on various research objectives.

목차
Abstract
서 론
    1. 국내 · 외 동물플랑크톤 조사방법 비교
    2. 동물플랑크톤 시료 채집 시 고려 사항
결 론
적 요
REFERENCES
저자
  • 오혜지(경희대학교 환경학 및 환 경공학과) | Hye-Ji Oh (Department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Engineering, Kyung Hee University)
  • 장광현(경희대학교 환경학 및 환 경공학과) | Kwang-Hyeon Chang (Department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Engineering, Kyung Hee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 정현기(국립환경과학원 낙동강물환경연구소) | Hyun-Gi Jeong (Nakdong River Environment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고순미(경기도 보건환경연구원) | Soon-Mi Go (Gyeonggi-do Institute of Health & Environment)
  • 나긍환(공생랩) | Geung-Hwan La (Eco-lab Gongsaeng)
  • 김현우(순천대학교 환경교육과) | Hyun-Woo Kim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ducation, Sunchon Nation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