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포항시 비오톱의 유형 구분, 속성 분석 및 복원 방안 KCI 등재

Classification, Analysis on Attributes and Sustainable Management Plan of Biotop Established in Pohang Cit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153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700원
생태와 환경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초록

생물의 특징적인 서식공간을 나타내는 비오톱은 도시생 태계의 효율적 조성 및 지속가능한 관리를 위해 필수적으로 파악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대표적 공업도시인 포항시 전역에 성립한 비오톱 유형과 그 속성을 분석 하여 이 도시를 생태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포항시에 성립한 비오톱 유형은 삼림 (침엽수림, 활엽수림 및 침·활 혼합림), 경작지 (논과 밭), 시설녹지 (조경수목식재지), 하천, 저수지, 나지, 주거지역, 공공시설, 상업지역, 공업지역, 도로 및 학교의 12개 유형 으로 구분되었다. 비오톱 유형에 따른 속성을 분석한 결과, 도시지역을 대표하는 공업지역, 주거지역 및 상업지역에는 제한된 공간에 주로 도입된 식생이 존재하였다. 더구나 그 식생은 지역과 지소의 특성을 반영하는 자생종 보다는 조경 및 원예용으로 개발된 식물들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다. 생산녹지는 도심으로부터 거리에 따라 먼 곳에는 전형적인 농경지의 형태를 나타내었지만, 인접한 곳에서 는 시설농업의 형태를 나타내었다. 자연녹지는 하천을 따라 성립한 수변식생과 산림식생으로 구분되었다. 그 중 산 림식생은 이차림 (7개 군락)과 조림지 (3개 군락)로 이루어졌다. 포항시의 도시생태계는 공업지역이 차지하는 면적이 넓고, 그 중 열오염과 이산화탄소 발생량이 높은 철강산업이 주를 이루고 있다. 반면에 녹지는 양과 질 양면에서 모두 매우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종합적으로 검토한 후 이 지역의 생태적 질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녹지의 양과 질을 개선할 수 있는 식생 복원방안 및 기존 녹지와 복원 예정 녹지를 묶어내는 녹지축 네트워크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Biotope, which represents the characteristic habitats of living organisms, need to be identified as essential for the efficient creation and sustainable management of urban ecosystem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for ecological urban planning by analyzing types and attributes of the biotop established throughout the whole area of the Pohang city, a representative industrial city in Korea. The biotop established in Pohang city is composed of 12 types including forests (coniferous, deciduous, and mixed forests), agricultural fields (rice paddy and upland field), green facilities, river, reservoir, bare ground, residential area, public facilities, commercial area, industrial area, roads, and school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roperties according to biotop types, industrial, commercial and residential areas, which represent urban areas, was dominated by introduced vegetation. Moreover the introduced vegetation is usually composed of exotic plants or modified forms for landscape architecture and horticulture rather than native plants, which reflects ecological property of both region and site. As the distance from the urban center increases, the agricultural field showed a form of typical farmland, whereas the closer it is, the more form of greenhouse farming. Natural green spaces were divided into riparian vegetation established along the stream and forest vegetation. Forest vegetation is consisted of secondary forests (seven communities) and plantations (three communities). The urban landscape of Pohang city is dominated by the industrial area. Among them, the steel industry, which occurs large amounts of heat pollution and carbon dioxide, occupies a large proportion. On the other hand, green space is very insufficient in quantity and inferior in quality. This study proposed several restoration plans and further, a green network, which ties the existing green spaces and the green space to be restored as a strategy to improve the environmental quality in this area.

목차
Abstract
서 론
재료 및 방 법
    1. 비오톱 유형화 및 지도 작성
    2. 비오톱 유형의 속성 조사
    3. 비오톱 유형의 속성 비교
결 과
    1. 비오톱 유형
    2. 비오톱 유형의 공간분포
    3. 비오톱 유형의 속성 분석
    4. 종다양성
    5. 비오톱 유형 간 속성 비교
고 찰
    1. 생태적 환경관리의 배경 및 필요성
    2. 포항시의 환경 실태와 복원방안
결 론
적 요
REFERENCES
저자
  • 정성희(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생명환경공학과) | Song Hie Jung (Department of Bio & Environmental Technology, Graduate School Seoul Women’s University)
  • 김동욱(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생명환경공학과) | Dong Uk Kim (Department of Bio & Environmental Technology, Graduate School Seoul Women’s University)
  • 임봉순(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생명환경공학과) | Bong Soon Lim (Department of Bio & Environmental Technology, Graduate School Seoul Women’s University)
  • 김아름(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생명환경공학과) | A Reum Kim (Department of Bio & Environmental Technology, Graduate School Seoul Women’s University)
  • 설재원(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생명환경공학과) | Jaewon Seol (Department of Bio & Environmental Technology, Graduate School Seoul Women’s University)
  • 이창석(서울여자대학교 생명·환경공학과) | Chang Seok Lee (Department of Bio & Environmental Technology, Seoul Women’s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