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느타리버섯 재배에서 면실박의 첨가비율에 따른 생육 특성 KCI 등재

Growth characteristics of oyster mushroom in bottle cultivation with addition of cottonseed meal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155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버섯학회지 (Journal of Mushrooms (J. Mushrooms))
한국버섯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ushroom Science)
초록

느타리버섯 재배에서 영양원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면실박의 첨가비율은 12%이상이면 충분할 것으로 판단된다. 면실박을 12~18% 첨가된 배지에서는 균사생장량은 13.9~14.0 cm로 균사생장이 대조구와 같거나 조금 빨랐다. 그러나 면실박을 10% 이하 첨가한 배지에서는 대조구보다는 균사생장이 느렸다. 면실박 첨가량에 따른 균사밀도는 처리간에는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고 높은 밀도를 보였다. CN율은 면실박 2%첨가에서 42.5, 면실박 10%첨가에서 26.8, 면실박 12%첨가에서 25.4였으며, 면실박 16% 첨가에서는 20.4 그리고 면실박 18% 첨가에서는 18로 대조구와 비슷한 수치를 보였다. 갓 직경과 두께는 면실박 14% 처리에서 가장 높았고, 대의 굵기는 면실박 12% 첨가된 처리에서 가장 높았다. 대와 갓의 경도는 면실박 16% 첨가된 처리에서 가장 높았다. 대의 색도를 측정한 결과 L값은 면실박이 적게 첨가된 처리구에서 낮은 경향을 보였지만, a, b 값은 처리간에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병당 수량은 대조구가 147.2 g/850 ml였 고, 면실박 12% 첨가에서 147.6 g/850 ml으로 대조구보다 조금 높았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optimum level of cottonseed meal in bottle cultivation of oyster mushrooms. Mycelial growth was slightly s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at a cottonseed meal level ≤10%. Pileus diameter and thickness were highest at 14%, and stipe diameter was highest at 12% cotton seed meal. The hardness of pileus and stipe was greatest at 16% cotton seed meal. L-values tended to be lower at low levels of cotton seed meal, but the a- and b-value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treatments. The yield of fruiting body was 147.2 g/850 ml in the control and slightly higher at 147.6 g/850 ml using 12% cotton seed meal.

목차
ABSTRACT
서 론
    균사생장량 및 밀도
    면실박 첨가비율에 따른 혼합배지의 CN율 변화
    배지재료 혼합비율별 자실체 특성 및 수량
적 요
REFERENCES
저자
  • 이찬중(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버섯과) | Chan-Jung Lee (Mushroom Research Division, NIHHS, RDA) Corresponding author
  • 이은지(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버섯과) | Eun-Ji Lee (Mushroom Research Division, NIHHS, RDA)
  • 박혜성(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버섯과) | Hye-Sung Park (Mushroom Research Division, NIHHS, RDA)
  • 공원식(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버섯과) | Won-Sik Kong (Mushroom Research Division, NIHHS, RD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