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지역문화자원을 이용한 관광대표상품 개발에 관한 연구 - 광주광역시 관광대표상품개발을 중심으로 - KCI 등재

A Study on Development of Key Tourism Products Using Local Cultural Resources - Focus on Development of Key Tourism Products of Gwangju Metropolitan City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2200
  • DOIhttps://doi.org/10.18555/kicpd.2019.58.09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Journal of Cultural Product & Design)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Korean Institute of Cultural Product Art & Design)
초록

1990년대 이르러 세계화와 맞물려 지역발전정책은 자원 분배적 차원의 한계를 벗어나서 지역특성화를 통한 지역경쟁력 강화와 자립형 지방화에 집중하였다. 이 시기부터 지역발전에 대한 시각이 ‘개발과 성장 지향’에서 ‘문화와 환경 지향’으로 전환되고, 삶의 가치관도 물질주의적 가치에서 탈 물질주의적 가치로 이동하였다. 또한 지역민의 ‘삶의 질’, 지역 환경의 ‘쾌적성’, 지역다움 등에 가치가 중요하게 되었다. 지역발전과 관광이 연계되어 추진된 시기는 2010년 들어서라고 할 수 있다. 문화체육관광부의 관광정책이 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사업들로 본격 가동되고 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주민참여형 관광사업이 시작되면서 관광이 실질적으로 지역발전에 기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1) 그리고 광주광역시를 방문한 관광객 및 여행을 경험한 관광객을 대상으로 관광객이 선호하는 문화관광상품의 아이템과 광주광역시 이미지를 조사하고 분석을 하여서 그에 맞는 적합한 광주관광대표상품을 스토리텔링 하여 제작함으로서 많은 경험을 줄 수 있는 광주관광대표상품 전략을 세웠다. 이에 광주광역시는 관광문화산업과 연계할 수 있는 관광대표상품은 지역문화발전을 위한 특색 있는 공예산업의 생산 잠재력을 확충시킬 수 있으며, 지역의 유무형 문화자원의 가치부각과 함께 수공예산업의 발전 도모, 그리고 광주의 문화 역사에 따른 향유와 혁신을 기대하고 설득력 있는 소비문화를 제고할 것이다.

Along with the trend of globalization in 1990s, local development policies concentrated on reinforcement of local competitive power and independent localization through regional specialization beyond the level of resources distribution. Since then, people had the view of local development turned to be culture-and environment-oriented rather than simple development-and growth-oriented, and people began to put a sense of value in life on post-materialism rather than materialism. Also, they considered ‘quality of life’ of community people, ‘pleasantness’ of local environment and region-specific nature as important values. Local development was not connected with tourism before 2010s. Tourism policy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started a diversity of tourism projects based on local areas. It was suggested that tourism business began to make a great contribution to local development as community people actively joined in the projects. The city government investigated and analysed cultural tourism products and city images that were preferred by visitors and worked out strategies of Gwangju tourism products including development of tourism products storytelling which will give many opportunities of experiences to visitors. Therefore, Gwangju city will further promote potential productivity in craft industry as a key tourism product for local cultural development, increase the values of tangible and intangible cultural resources and handcrafts and make persuasive consumption culture that is based on culture and history of Gwangju through innovative strategies.

목차
1. 서론
2. 관광대표상품의 배경 및 필요성
3. 스토리 컨셉 및 그래픽 개발
4. 광주관광대표상품 개발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
  • 정재훈(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 Jeng Jae Hoon
  • 김남훈(조선대학교 시각디자인학과) | Kim Nam Ho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