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환경의식과 생태학적 디자인 고찰 KCI 등재

A Study on Environmental Awareness and Ecological Desig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2208
  • DOIhttps://doi.org/10.18555/kicpd.2019.58.1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Journal of Cultural Product & Design)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Korean Institute of Cultural Product Art & Design)
초록

산업혁명 이후 문명의 발달로 인한 인구의 증가와 도시화는 현대인의 삶을 급격히 변화시키고 있다. 인권과 자연과의 공생이 주장되기 시작한 19세기 중반 이후의 사상가와 문필가로부터 환경 친화적 개념을 도입한 디자인 교육자들과 정치가 등 다양한 분야의 실천가들과 그들의 대표적인 저서와 사상을 고찰하였다. 이들의 사상과 함께 태동한 생태학의 이론과 개념 으로부터, 생태학적 디자인은 인간과 환경의 공존을 위한 대안으로 활용되고 있다. 생태학적 디자인이라는 큰 영역 속에서 에코디자인(Eco Design), 그린디자인(Green Design), 환경친화적 디자인(Eco Friendly Design), 지속가능한 디자인 (Sustainable Design)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비슷하면서도 다른 디자인 관점에 대해 고찰한다. 특히 ‘지속가능한 디자 인’이라 불리고 사용되는 디자인의 개념을 시간과 공간과 프로세스로 구분하여 소개하고, 디자인 사례를 통해 ‘지속가능성’ 이라는 불분명한 개념을 디자인 관점에서 구체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환경과 인간 활동의 공존,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더 많은 생태학적 디자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increase in population and urbanization by the progress of civilization after the industrial revolution were changing rapidly.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actitioners in various fields like design educators and politicians, etc. who had introduced the environmental friendly concepts from the thinkers and writers since the mid 19th century when beginning to assert the symbiosis between the human rights and nature as well as their representative books and thoughts. Ecological design from the ecological theory and concept that was emerged with their thoughts has been utilized as alternative for the coexistence of human and environment. Under the large domain like Ecological Design, it was called as Eco Design, Green Design, Eco Friendly Design, and Sustainable Design, etc. by various names and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imilar and different perspectives of design. In particular, this study was to introduce the design concept, called and used as 'Sustainable Design' by classifying the time, space and process. As a result, the indistinct concept like 'Sustainability' according to the design cases could be specifically recognized from the design perspective. To conclude, this researcher expects that further studies on the further ecological design will make progress for the coexistence of environment and human activity, and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future.

목차
1. 서론
2. 환경의식
3. 생태학적 디자인
4. 지속가능한 디자인
5. 결론
참고문헌
저자
  • 정윤섭(경기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 | Cheong Yoon S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