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농업활동으로 인해 훼손된 농촌경관의 생태적 복원방안 연구 KCI 등재

Ecological Restoration Plan for Damaged Rural Landscape caused of Agricultural Activiti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316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휴양및경관연구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초록

경제성장에 따른 개발과 사회 인프라의 확충으로 한국의 농촌경관은 지속적으로 훼손이 발생하고 있으며, 사회 시스템과 생태 시스템의 다양한 요인을 모두 고려한 경관의 복원 방안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훼손된 농촌경관의 사회생태 시스템에 대해 시스템 사고를 활용하여 분석하고, 나타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생태적 복원의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시스템 사고의 도구인 인과순환지도를 활용하여 훼손된 농촌지역의 경관에서 나타나는 문제의 원인과 결과를 분석하고, 사회생태 시스템이 안정될 수 있도록 복원의 방안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복합적이고 동태적인 사고를 통해 훼손 이후 농촌경관의 사회생태 시스템이 회복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 또한 회복력 있는 사회생태 시스템을 통한 지속가능한 농촌경관을 제공하며, 재해(홍수, 산사태 등)와 같은 다양한 교란에 적응할 수 있는 공간을 창출할 수 있을 것이다.

With the development according to economic growth and the expansion of social infrastructure, rural landscape in the republic of Korea is constantly damaged. Therefore, landscape restoration plans, which take into account various aspects of social and ecological systems, need to be implemen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ocial-ecological system of a damaged rural landscape using system thinking and to recommend an ecological restoration plan to address the environmental challenges in the area. To do this, we analyze the causal relations in the landscape damaged rural area using causal-loop diagrams, which are system thinking tools, and formulate ecological restoration plans that could stabilized the social-ecological system.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show the extent to which the social-ecological system of the damaged rural landscape could be recovered through complex and dynamic thinking. It could also facilitate the creation of a sustainable rural landscape based on a resilient social-ecological system and the creation of an area that is adapt against various disturbances such as disasters (floods, landslides, etc.).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1. 서론
2. 연구 범위 및 방법
    2.1 연구범위
    2.2 연구방법
3. 결과 및 고찰
    3.1 훼손된 농촌경관의 인과순환구조 분석
    3.2 훼손된 농촌경관의 생태적 복원 방향 제안
4. 결론
References
저자
  • 송기환(고려대학교 대학원 환경생태공학과) | Kihwan Song (Dept. of Environmental Science & Ecological Engineering,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 최윤의(고려대학교 오정에코리질리언스 연구소) | Yuneui Choi (OJeong Eco-Resilience Institute, Korea University)
  • 전진형(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부) | Jinhyung Chon (Div.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Ecological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