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최소비용거리를 활용한 녹지네트워크 분석 KCI 등재

Analysis of Green Area Network Using Least-cost Distanc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316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휴양및경관연구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초록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를 사례지로 선정하여 도시의 토지유형별 저항정도를 파악하고 연결성을 분석함으로써 녹지네트워크 계획의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가장 큰 의의를 두었다. 이를 위해 우선 거점지역을 추출하고, 생태계서비스 중 종⋅보전을 위한 가치를 저항 값으로 계산하여 저항표면을 작성하였다. 또한 최소비용거리분석을 활용하여 녹지 간 연결성을 확인하였다.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거점지역 추출결과 연구대상지의 10ha 이상의 거점녹지지역은 총 131개 지역이 추출되었으며 이는 대구광역시 총 녹지면적의 약 72%에 해당한다. 저항표면 작성 결과 도시 내 자연형 산림을 포함하고 있는 두류공원, 학산공원 등은 주변 도시개발로 인해 고립도가 상당히 큰 것으로 측정이 되었다. 비용표면을 적용한 거점지역 간 인접성 확인결과 총 326쌍이 인접된 것으로 확인 되었으며 이는 단순 직선거리를 적용한 것에 비해 30쌍이 줄어든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최소비용 거리계산 결과 총 383개의 Link가 확인 되었으며, 이들의 평균거리는 약 3.59km로 단순 직선거리 보다 약 3배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차후 공원녹지 기본계획 시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 해줄 수 있을 것이며 특히, 현재 기능이 떨어진 연결지점 및 중요 거점녹지 파악에 있어 실효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This study had the greatest significance in presenting the direction of the green network plan by selecting Daegu Metropolitan City as the case site to identify the resistance level of each type of land in the city and analyzing the connectivity. For this purpose, a resistance surface was developed by first extracting a base area and calculating the value for species and preservation among ecosystem services as a resistance value. The least cost distance analysis was also used to confirm connectivity between the green areas. Summarise the main results as follows: First of all, a total of 131 areas of the base green area of 10 hectares or more of the areas studied were extracted, which is about 72 percent of the total green area in Daegu. As a result of preparation of resistance surfaces, Duryu Park and Haksan Park, which contain natural forest in the city, were measured to have significant isolation due to the development of surrounding cities. A total of 326 pairs were found to be adjacent to each other based on cost surface, which is 30 pairs less than simple direct voting. The least cost distance calculation showed that a total of 383 links were identified, with their average distance of about 3.59 kilometers, about three times more than that of a simple straight line.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the future basic planning of the park green area are thought to be able to provide important basic data, especially in identifying connection points and important base areas where the current functions have fallen.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1. 서론
2. 이론적 고찰
3. 연구방법
    3.1 연구대상지 현황
    3.2 연구범위
    3.3 연구방법
4. 결과 및 고찰
    4.1 거점지역 추출 및 비용표면 계산
    4.2 거점지역 간 인접성 확인
    4.3 최소비용 거리 계산 및 모델링
5. 결론
References
저자
  • 권오성(경북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Ohsung Kwo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나정화(경북대학교 조경학과) | Junghwa Ra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 조현주(대구대학교 조경학과) | Hyunju Cho (Divi. of Urban Landscape, Landscape Architecture, Daegu University)
  • 김진효(경북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Jinhyo Kim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이순주(경북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Soonju Lee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