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5가지 조성원칙에 입각한 한국민속촌 사인시스템 분석 - 정체성⋅통일성⋅가독성⋅내구성⋅위치 적합성을 중심으로 - KCI 등재

Analysis of Sign Systems of Korean Folk Village based on Five Principles - With a Focus on Identity⋅Unity⋅Readability⋅Durability⋅Location Suitability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317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휴양및경관연구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초록

관광지 및 공공공간에서의 사인 시스템은 대상지에서의 즉각적이고 명확한 정보 안내는 물론 현장에서의 다양한 이용자 계층을 고려한다는 측면에서 여전히 중요한 과제로 남아 있다. 본 연구는 대표적 한국전통문화 관광지의 하나인 한국민속촌을 대상으로 정체성, 통일성, 가독성, 내구성, 위치의 적합성 등 5가지 조성원칙에 입각하여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사인시스템에 대한 문헌분석, 한국민속촌 사인시스템의 현황조사와 더불어 실제 이용자 150명을 대상으로 현장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각각의 조성원칙이 전반적인 사인 이용 만족도와 어떤 상관성을 갖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정체성, 통일성, 가독성, 내구성, 위치의 적합성 등 사인시스템의 5가지 주요 원칙들과 사인의 이용만족도와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Pearson 상관계수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한국민속촌의 경우 통일성과 가독성이 사인의 이용만족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내구성과 위치의 적합성은 사인의 이용만족도와 낮은 상관성을 보였다. 5개의 주요 요소들간에는 정체성과 통일성이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통일성과 가독성, 정체성과 위치의 적합성도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Sign systems in tourism or public sites are important for visitors to understand information about the site and circulation. Recently, despite a wide use of information technologies, establishment of sign systems for on-site information often remains an important challenge. This study analyzed Korean Folk Village, one of iconic tourism site for experiencing Korean traditional culture, based on the five principles of sign system: identity, unity, readability, durability, location suitability. For the research methods, we conducted literature review, field investigation, and survey. We surveyed 150 visitors on the site to understand how users’ satisfactions are associated with the five principles. For statistic tool, we use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From the analysis, we found users’ overall satisfaction of the site is closely associated with identity and unity of the sign system, while less with durability and readability. For the relationships among the five principles, we found identity and unity are most closely associated, following by unity and readability, and identity and location suitability.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1. 서론
2. 이론적 고찰
3. 대상지 현황
4. 연구방법
5. 결과 및 고찰
6. 결론
References
저자
  • 김나래(경희대학교 환경조경디자인학과 환경생태계획연구실) | Narae Kim (Ecological Planning and Design Lab, Kyung Hee University)
  • 김진오(경희대학교 환경조경디자인학과) | Jin-Oh Kim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Kyung Hee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