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열환경 관련 법⋅제도의 현황 및 시사점 - 공간계획을 중심으로 - KCI 등재

Current Status and Implication of Laws and Institutions Related to Thermal Environment - Focused on the Spatial Planning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317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휴양및경관연구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초록

전세계적으로 도시의 열환경이 해마다 악화됨에 따라, 정부는 열환경 개선을 위해서 공간계획과 관련법, 제도를 제정 및 개정하고 있다. 본 연구는 도시의 열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는 공간계획과 관련한 한국의 법 및 제도를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1) 도시 열환경 개선과 관련된 한국의 법령, 행정규칙 및 자치법규, 2) 도시 열환경 분석 및 평가제도, 3) 지자체의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 중 폭염 적응 정책을 검토⋅분석하였다. 이러한 검토로부터 도출된 시사점은 공간계획 위계별 체계의 불명확, 열환경 용어의 통일성 결여, 열환경 개선 요소의 도입 근거 미흡, 단일 그린인프라 위주 장려, 열환경 평가 및 분석제도의 개선 필요 등이다. 본 연구는 도시의 열환경 개선을 위한 한국의 법⋅제도개선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Due to climate change and urbanization, the urban thermal environment has been getting worse every year, and government is legislating and amending laws, and institutions concerning spatial planning for improve the urban thermal environmen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laws and institutions related to spatial planning for improve the urban thermal environment. For this purpose, we reviewed 1) laws, administrative rules and ordinances of local governments related to improvement of urban thermal environment, 2) analysis and evaluation tools of thermal environment, 3) climate change adaptation policies of local governments responding to heat wave events. As results, we found a lack of unity in terms concerning thermal environment, insufficient bases for introducing factor to improve thermal environment, and the need for improvement of analysis and evaluation tools and methods. This study could support improvement of laws and institutions for improvement of urban thermal environment.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1. 서론
2. 연구범위 및 방법
3. 결과 및 고찰
    3.1 도시 열환경 개선 관련 법⋅제도
    3.2 열환경 개선정책
4. 결론
References
저자
  • 김권(경북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Kwon Kim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엄정희(경북대학교 산림과학⋅조경학부 조경학전공) | Jeong-Hee Eum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