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열취약성 평가를 통한 노후주거지 재생 방안 - 대구광역시 비산2⋅3동을 사례로 - KCI 등재

Regeneration Strategies of Deteriorated Residential Area through Heat Vulnerability Assessment - A Case Study of Bisan 2⋅3 dong in Daegu, Korea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317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휴양및경관연구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초록

본 연구는 도시재생지역 중 노후주거지의 열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계획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노후주거지 재생을 추진하는 재생 창조거점으로 선정된 대구광역시 서구 비산2⋅3동을 연구 대상지로 선정하여, 기후노출, 적응능력, 민감도로 구성된 15개의 지표를 이용하여 대상지의 열취약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된 열취약성 1등급 지역을 열환경 우선 개선지역으로 선정하고, 15개 지표를 대상으로 열취약 원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열환경에 취약한 주요 원인은 수⋅녹지율, 일 최고기온 33℃ 이상인 날의 수, 지표면온도, 일 최저기온 25℃ 이상인 날의 수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열환경 우선 개선지역에 소규모의 녹지 조성, 화이트루프의 적용, 쿨링포그 시스템 설치를 우선적으로 시행할 것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propose regeneration strategies of deteriorated residential area through heat vulnerability assessment to improve the thermal environment in urban regeneration areas. For this purpose, Bisan 2⋅3-dong in Daegu metropolitan city was selected as a study area, which is one of urban regeneration areas due to deteriorated settlements. Heat vulnerability assessments for Bisan 2⋅3-dong were done by using 15 indicators concerning climate exposure, adaptive capacity and sensitivity. The first grade derived from heat vulnerability assessments was designated as the priority area for improving thermal environment. Furthermore, the influential indicators to vulnerability were analyzed. As results, the most influential indicators of vulnerability to the thermal environment were ratio of water and green areas, number of days with daily maximum temperatures above 33°C and minimum temperature above 25°C, and surface temperature. Hence, it was suggested that establishment of small-sized green areas, promotion of white roofs technology, and installation of cooling fog system should be implemented first to improve thermal environment of the priority areas in Bisan 2⋅3-dong.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1. 서론
2. 이론적 고찰
3. 연구방법
    3.1 연구대상지
    3.2 연구방법
4. 결과 및 고찰
    4.1 열취약성 평가 분석결과
    4.2 비산2⋅3동 도시재생 계획방안
5. 결론
References
저자
  • 김권(경북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Kwon Kim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엄정희(경북대학교 산림과학⋅조경학부 조경학전공) | Jeong-Hee Eum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