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중국 도시풍경명승구 경관요소의 시각적 선호도 분석 KCI 등재

Visual Preference Analysis of Landscape Elements in Urban Scenic Areas of Chin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318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휴양및경관연구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초록

본 연구는 중국의 28개 도시풍경명승구에서 선정한 200개 디지털 이미지를 대상으로 경관의 매력도에 영향을 미치는 경관요소 및 시각조형요소의 선호도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내 관련 선행연구들을 종합하여 28가지 경관요소 및 7개 경관의 시각조형요소를 선정하였으며, 직관평가법을 이용하여 이들에 대한 선호도를 평가한 결과, 경관요소의 시각적 선호도는 꽃, 잔디, 유희시설 및 정원시설물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시각조형요소는 규모, 색상 및 상대위치의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요인분석 결과 28개 경관요소는 8개의 경관요인(관광서비스, 수경시설, 안전·지도시설, 매력물, 식물, 도로·광장, 자연풍경 및 지형요인)으로 설명될 수 있었다. 셋째, 도출된 경관요인 및 시각조형요소를 대상으로 피평가자들의 선호도 성향을 분석(T-검정, 분산분석)하였다. 경관요인의 경우 매력물 및 식물재료에서 성별에 따른 선호도 차이를 보였는데, 정원, 문화유적 등을 포함하는 매력물의 경우 여성이 남성보다 높은 점수를, 식물재료의 경우 남성이 여성보다 높은 점수를 주었다. 연령별로는 도로·광장인자의 경우 40세 이상의 평가자들이 20대 이하의 젊은 층에 비하여 높은 점수를 주었다. 시각조형요소 중 색상요소의 경우 여성이 남성보다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명승구 계획에 있어 자연경관뿐 아니라 안내판, 안전지도 등의 관광기반시설 설치가 중요한 경관요소임을 알 수 있었으며, 주 이용객의 특성을 반영한 설계가 이루어져야 함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visual preferences of landscape elements in urban scenic areas of China. Firstly, visual preferences were evaluated with 28 Landscape elements and 7 visual elements selected from previous chinese landscape studies. Among 28 landscape elements, flowers, lawns, amusement facilities and garden architectures got high scores and among visual elements, spatial scale, color and relative position were the primary considerations. Secondly, through factor analysis, 8 main factors of Tourism service facilities, water, attractions, secure & guidance facilities, road & square, plant, natural landscape and topography were extracted. Thirdly, through the t-test and variance analysis to 8 landscape factors, attractions and plant factors have significant results by gender. Women scored higher than men in the attractions factor, but in plant factor, men is higher than women. By age, surveyees over 40s gave higher scores to road & square factor than young people in their 20s. Among landscape visual factors, women prefers color factor than men. In conclusion, for enhancing landscape aesthetics in urban scenic areas, landscape elements of tourism service and security facilities an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main users have to be considered together.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1. 서론
2. 연구방법
    2.1 연구 대상지
    2.2 평가 이미지 및 경관요소 선정
    2.3 평가 방법
    2.4 분석 과정
3. 결과 및 고찰
    3.1 설문개요 및 기초통계량
    3.2 경관요소 선호도 분석
    3.3 경관요소의 신뢰도 및 타당도 분석
    3.4 경관요소 요인분석
    3.5 경관요인별 피평가자 특성 분석
4. 결론
References
저자
  • 손문청(원광대학교 대학원 산림 ㆍ조경학 전공) | Wenqing Sun (Dept. of Forest &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Wonkwang University)
  • 김상욱(원광대학교 농식품융합대학 산림조경학과) | Sangwook Kim (Dept. of Environmental Landscape Architecture, Wonkwang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