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커뮤니티 주도 미세먼지 저감 방안 - 영국 런던 미세먼지 저감형 커뮤니티 가든을 사례로 - KCI 등재

Exploring Community-led Particulate Matters Abatement -The Cases of Particulate Matters Abatement Community Gardens in London, UK-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319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600원
휴양및경관연구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초록

오늘날, 세계적으로 미세먼지(Particulate Matters:PM)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과 해결을 위한 다양한 방법이 소개되고 있다. 영국과 같은 선진국에서는 정책을 바탕으로 커뮤니티가 주도하는 활성화된 PM저감형 가든 조성 및 관리를 통해 PM저감에 기여하고 있다. 이에 대한 연구는 국내 PM문제 해결을 위한 대안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적은 커뮤니티 주도 PM저감형 가든에 대한 영국 런던의 사례 분석과 경영 구조에 대한 특징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적극적인 커뮤니티 참여를 통한 PM저감형 가든 조성 및 운영 활성화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체계적인 분석, 고찰 및 시사점 도출을 위해, Place-keeping 분석 틀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적극적인 거버넌스를 강조하는 지방정부의 정책적 가이드라인이 PM저감을 위한 구심점으로 작용하였다. 또한, 이해관계자들의 참여를 통한 파트너십, 커뮤니티에 의한 추가적인 재원 마련, 정기적인 모니터링, 장기적 관점에서의 관리가 동시에 적용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PM저감형 커뮤니티 가든은 적극적 거버넌스 개념 도입을 통한 지속 가능한 자립형 경영 구조를 강조하는 바이다.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Place-keeping의 여섯 가지 개념을 적용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정책은 커뮤니티 참여 활성화를 강조하는 실현 가능한 대안을 제시해야 한다. 둘째, 적극적 거버넌스 개념을 촉진하기 위해 커뮤니티의 의사결정 참여를 위한 기회 제공을 의무화해야 한다. 셋째, 추가적인 재원 마련을 위해 민간 및 비지니스 분야와 같은 외부 자금 지원이 확대돼야 한다. 넷째, PM저감 쟁점에 대해 일반 국민이 책임을 공유해야 한다. 다섯째, 커뮤니티 주도 PM모니터링 확대와 대학과 같은 잠재적인 이해관계자들의 PM모니터링 참여를 확대해야 한다. 여섯째, 저관리형 PM저감 식재를 통해 재원 및 인력 부족에 대한 한계점을 최소화하여 장기적인 유지관리 구조를 조성해야 한다. 이와 같은 시사점의 반영은 추후, 공동체 의식의 증가뿐만 아니라, 결과적으로 PM저감형 커뮤니티 가든의 활성화로 이어질 것이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PM저감형 커뮤니티 가든의 긍정성이 국내 PM문제 해결을 위한 매개체가 되기를 기대한다.

Today, Particulate Matters(PM) have negative impacts on people’s health across the world and constitute an intractable issue to address particularly in South Korea. There has been a lot of approaches to abating PM in government control-centred policies. However, this is not always an addressable approach that such developed countries often implement additional approaches: for instance, community-led gardens for PM abatement in London, UK. Therefore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explore relevant case studies and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management structure. To conceptualise findings in this study, the place-keeping theory is employed as analytical frameworks. The results show that strong governance under local policy support is a key solution to address the PM issues alongside partnership by stakeholders’ involvement, community-generated additory funding, regular evaluation by community monitoring, long-term maintenance. This study highlights that the management structure of community gardens should be formed in self-sustaining structure with strong governance. To support the finding, policy should meet feasible approaches focusing on encouraging community involvement. Stronger governance should be formed in increasing community’s involvement in decision-making process. Funding opportunity that is supported by external resources including private/ business sectors should be widened. A wider public awareness of importance of PM abatement should be spread by public partnership to be involved in sharing responsibility. Community-generated PM monitoring should be promoted further: for example, among potential external stakeholders, universities can take responsibility to provide the tools and education. Low-maintenance vegetation should be planted to sustain community gardens in longer-term against a lack of funding and labour. This coordinating approaches are to help engender increasing sense of community. Accordingly it is expected that community gardens can be vitalised for PM abatement. This all is therefore to abate PM and other air pollutants and will ultimately contribute to people’s health. Also, it is hoped that the findings will be able to be delivered their positive impacts on PM abatement to the Korea contexts.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1. 서론
2. 이론적 고찰
    2.1 영국 미세먼지
    2.2 영국 커뮤니티 가든
3. 연구방법
    3.1 자료수집 및 연구 대상지 선정
    3.2 대상지 현황
    3.3 분석 틀
4. 결과 및 고찰
    4.1 정책
    4.2 자금
    4.3 거버넌스
    4.4 파트너십
    4.5 모니터링
    4.6 관리
    4.7 고찰 및 시사점
5. 결론
References
저자
  • 남진보(셰필드대학교 플레이스-킵핑 리서치 그룹) | Jinvo Nam (The Place-keeping Research Group, The University of Sheffield, UK)
  • 김근호(영남대학교 산림자원 및 조경학과) | Keunho Kim (Dept. of Forest Resources and Landscape Architecture, Yeungnam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