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도시림 방문특성 및 방문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대구광역시를 대상으로- KCI 등재

Analysis of Attributes and Factors of Intention to Visit on Urban Forests - Targeting Daegu Metropolitan Cit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319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휴양및경관연구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초록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를 대상으로 하여 도시림의 방문특성을 분석하고, 도시림의 양적 수준, 접근성, 관리수준, 도시림의 기능 등이 도시림의 방문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대구시민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실증적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빈도분석, 상관분석, 요인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대구시민들은 1년에 한 번 이상(30.8%)이상 가족(41.4%)이나 친구/동료(39.4%)와 함께 주로 자동차(50.7%)를 이용해 도시림을 방문하며, 체재시간은 2-6시간 정도(52.8%)인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림이 대부분 도시외곽지역에 분포하기 때문에 자동차를 통해 방문하며, 체재시간이 다소 긴 것으로 해석된다. 도시림 방문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도시림의 기능(건강증진)에 대한 평가값(3.91)이 높게 나타났으며, 전반적으로 도시림이 가지는 물리적·환경적·휴양적 기능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변수들 간의 관계에서는 방문의사는 도시림의 관리수준(0.463), 건강증진 기능(0.416), 정서적 안정감(0.414), 도시림의 양적수준(0.407)과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림 방문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분석 결과, 접근성(0.322), 도시림의 관리수준(0.188), 양적 수준(0.124) 순으로 방문의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림의 기능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환경적 기능(0.324), 조절적 기능(0.246), 휴양적 기능(0.199)의 순으로 방문의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생활권 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도시림의 확보와 유지관리가 중요함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최근 도시 환경문제의 악화와 함께 도시림의 환경적 기능이 도시림 방문의사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도시민 전체를 대상으로 하여 일반적인 도시림의 방문특성과 방문의사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구명하고, 도시림이 가지는 환경적 기능, 휴양적 기능, 조절적 기능을 수요자 측면에서 평가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기존 연구와 달리, 도시림 방문의사를 통해 도시림을 평가했으며, 도시림의 방문의사와 도시림의 양적 수준, 접근성, 관리수준, 도시림의 기능 간의 관계를 구명했다는 점에서 차별성이 있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attributes of visits to urban forests in Daegu, and investigate how the intention to visit is influenced by the quantitative level, accessibility, and function of the urban forests. To this e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among the citizens of Daegu to collect empirical data.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itizens of Daegu usually visited urban forests by car(50.7%) once a year(30.8%) with family(41.4%) or friends(39.4%). The durations of their visits were between two and six hours(52.8%). Respondents reported that they drove because most urban forests are located on the outskirts of the city, which also explains why the durations of their visits were relatively long. Among the factors that influenced the intention to visit, improving health scored the highest. Respondents thought highly of the physical, environmental, and recreational functions of the urban fores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the intention to visit was found to have a relatively strong correlation with the following factors: the management level of the urban forest, the function of improving health, the function of providing emotional stability, and the quantitative level of the urban forests. The analysis of factors that influenced the intention to visit revealed the following variables: accessibility(0.322), the level of urban forest management(0.188), and the quantitative level of the urban forests(0.124). The result of factor analysis on the function of the urban forest showed that intention to visit was influenced by the following variables: environmental function(0.324), regulatory function(0.246), and recreational function(0.199). Findings confirmed the significance of securing and managing urban forests that can be easily accessed from residential districts. Findings also showed that intention to visit the urban forest is greatly influenced by the worsening conditions in the urban environment, and the environmental functions of the urban forests.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identified the general attributes of visits to urban forests, as well as the factors that exerted influence on the intention to visit. It assessed the functions of the urban forest (environmental, recreational, and regulatory) from the perspective of visitors. In addition, this study is distinctive from previous studies because it made an assessment based on visit intention, and clarified the correlation of intention with quantitative level, accessibility, management level, and function.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1. 서론
2. 이론적 고찰
    2.1 도시림의 개념 및 분류
    2.2 도시림의 기능 및 조성
    2.3 도시림 현황
    2.4 도시림 이용
3. 연구방법
    3.1 연구모형 및 연구가설
    3.2 조사방법 및 분석방법
4. 결과 및 고찰
    4.1 응답자의 인구학적 특성
    4.2 도시림 방문특성
    4.3 도시림 방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5. 결론
References
저자
  • 장민숙(대구경북연구원 스마트 공간 연구실) | Minsook Jang (Dept. of Smart Management for Urban & Region, Daegu Gyeonbuk Development Institute)
  • 김주석(대구경북연구원 스마트 공간 연구실) | Joosuk Kim (Dept. of Smart Management for Urban & Region, Daegu Gyeonbuk Development Institute)
  • 김근호(영남대학교 산림자원 및 조경학과) | Keunho Kim (Dept. of Forest Resources and Landscape Architecture, Yeungnam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