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감성 욕구와 인지 욕구의 개인차가 가상현실의 건강 조언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The Effect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Need for Affective and Cognitive on Health Advice in Virtual Reality

  • 언어ENG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322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600원
감성과학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한국감성과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 Sensibility)
초록

본 연구는 기본 욕구의 개인차에 따라 메시지에 담긴 행동을 추구하는 데 효과적인 메시지 제공자가 다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Haddock, Maio, Arnold, & Huskinson (2008)에 의하면, 감성 욕구(NFA)가 높은 사람은 정서 기반의 메시지에, 인지 욕구(NFC)가 높은 사람은 인지 기반의 메시지에 더 영향을 받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기본 욕구의 개인차가 메시지뿐 아니라 메시지 제공자에까지 적용할 수 있으리라 생각했다. 예를 들면, 감성 욕구가 높은 사람은 전문가보다 의미 있는 타인에게 전달받은 메시지를 더 잘 수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VR에서 개인별 건강 조언에 효과적인 메시지 제공자를 파악하고자, 개인의 욕구 (2: NFA, NFC), 메시지 제공자 (3: 전문가, 의미 있는 타인, 타인) 그리고 VR 착용 (2: Text, VR)에 따른 선호도와 일상생활 스트레스 관리에 대한 자기 효능감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예상과 달리, 기본 욕구와 메시지 제공자의 특성에 따른 일치 효과는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감성 욕구가 높은 집단이 VR 건강 조언에 더 적합하다는 경향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VR 환경에서 개인의 맞춤형 메시지 제공자를 파악하고자 한 데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초기 단계의 연구로 추후 VR 환경의 건강 조언 연구에 기여하리라 예상한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which message provider is effective in a virtual reality (VR) environment for individuals with different needs with regard to affect (need for affect [NFA]) and cognition (need for cognition [NFC]). According to Haddock et al (2008), individuals with high NFA were more influenced to change their behavior by the emotional aspects of a message, whereas individuals with high NFC were more influenced by the cognitive aspects of the same message. We hypothesized that individual differences in needs could affect not only receipt of the message but also the acceptability of the message provider. For example, someone with high NFA might accept messages more easily from an acquaintance than from experts. In the VR environment, the appearance of the message provider could be manipulated in a way that makes him or her more familiar to the person receiving the message. Accordingly, in order to promote the effectiveness of message providers in a VR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individual difference in needs, we measured the level of the preference and self-efficacy according to needs (NFA or NFC), type of message provider (expert, significant other, or other), and VR device (text or VR). Contrary to what we expect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no matching effect between the needs and the message provider. However, we found that level of preference and self-efficacy were significantly high when a VR device was worn only by participants with high NFA. This result suggests that a VR environment is more suitable for providing health advice to people with high NFA. In addition, the novelty of this study is that we tried to find the tailored message provider on health advice in VR environment and it is in the early stage of the research.

목차
Abstract
요 약
1. 서론
2. 연구 설계 및 예상
3. 연구방법
    3.1. 참가자
    3.2. 과제 및 절차
4. 결과 및 논의
    4.1. 감성 욕구 및 인지 욕구의 개인차
    4.2. 건강 조언자에 대한 선호도
    4.3. 일상생활 스트레스 관리에 대한 자기 효능감
    4.4. 선호도 및 자기 효능감 결과에 대한 논의
5. 종합 논의
REFERENCES
저자
  • 유상형(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인지과학협동과정) | Sanghyeong Yu
  • 정유진(연세대학교 심리학과) | Yujin Jung
  • 한광희(연세대학교 심리학과) | Kwanghee Han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