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환경공간정보를 고려한 어린이공원 내 말벌속(genus Vespa) 출현 경향 분석 KCI 등재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Hornets(genus Vespa) Considering Environmental Spatial Information in Urban Children’s Park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328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도시생태계는 기존 자연생태계와 달리 야생생물 및 인간이 함께 공존하는 상호복합적 환경을 제공한다. 그러나 도시 녹지 및 공원에 출현하는 말벌속(genus Vespa)은 도시생태계에 긍정적인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도시민에게 물리적·심리적 피해를 초래하는 불균형을 야기하기도 한다. 특히 어린이공원은 접근성이 높아 도시민 및 어린이가 쉽게 이용하는 도시 녹지이며 말벌속이 거점 및 서식지로 활용하는 공간임에도 아직까지 어린이공원에 출현하는 말벌속에 대한 서식환경 및 출현 특성을 공간적으로 분석한 연구가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말벌속의 생활사 기간을 고려해 2018년 4월부터 11월까지 32주간 천안시 어린이공원 27개소 내 말벌트랩을 설치해 말벌(Vespa crabro flavofasciata), 좀말벌(Vespa analis parallela), 장수말벌(Vespa mandarinina), 꼬마장수말벌(Vespa ducalis), 등검은말벌(Vespa velutina nigrithorax)을 포획하고 출현 종 구성 및 어린이공원의 입지 특성 및 환경공간정보를 고려한 말벌속의 출현 경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기간 말벌속은 총 818개체가 포획되었으며, 종별로는 좀말벌 290개체(35.4%), 말벌 260개체(31.8%), 꼬마장수말벌 100개체 (12.1%), 장수말벌 87개체(10.6%), 등검은말벌 81개체(9.9%) 순으로 포획되었다. 대부분의 말벌속은 계칩(啓蟄) 이후 5~6 월에 여왕벌 위주로 포획이 이루어지다가 분업기인 6월 중순부터 포획 개체 수가 급감한 공통적인 특징이 있으나, 등검은말벌 은 타 말벌속의 쇠퇴기가 이미 시작된 10월 3주차부터 80% 이상 포획되어 계절적 차이를 보여주었다. 어린이공원 입지별 말벌속 포획 개체 수를 분석한 결과 포획량 상위 6개소에서 363개체(44.3%), 하위 6개소에서 35개체(4%)가 포획되어 확연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상위 6개소의 평균 NDVI(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는 0.79로 하위 6개소의 평균 NDVI인 0.38과 유의한 평균간 차이를 보였으며(t=2.67*, *=p<0.05), 주변 토지이용이 초지 혹은 나지일 경우 말벌속 포획 빈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도시 내 녹지 및 공원에 출현하는 말벌속의 생태적 기본 특성을 확인한 기초 연구로서 의의가 있으며, 향후 효율적인 도시 녹지 관리를 위한 토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Unlike natural ecosystems, the urban ecosystem provides an interdependent environment in which wild organisms and urban people co-exist. Hornets (genus Vespa) appearing in urban green and parks have a positive effect on urban ecosystems, but they also cause ecosystem disservices that cause physical and psychological discomforts to the urban people. Children’s parks, for example, are very popular among children and residents for easy accessibility, and hornets also use them as bases and habitats. However, there is still a lack of spatial analysis of habitats and appearance characteristics of hornets in children’s parks. This study installed hornet traps in 27 children’s parks in Cheonan from April to November 2018 in consideration of the life cycle of hornets. We captured a total of five Vespa species (Vespa crabro, V. analis, V. mandarinia, V. ducalis, and V. velutina) for 32 weeks and analyzed the emergence of hornets in relation to the composition of seasonal characteristics, species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al spatial information. We captured a total of 818 hornets during the study period. They included 290 V. analis (35.4%), 260 V. crabro (31.8%), 100 V. ducalis (12.1%), 87 V. mandaninia (10.6%), and 81 V. velutina(9.9%). Most of the hornets showed a common feature that queen hornets were largely captured in May through June after they awake from hibernation, and the number of caught hornets decreased sharply beginning in mid-June, which was the cooperative period. However, V. velutina showed a seasonal specificity that more than 80% were captured beginning in the third week of October when other hornet species had already entered a decline phase. The analysis of the number of hornets caught in each spot in children’s park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spots as 363 hornets (44.3%) were captured in top children’s parks, and 35 hornets (4%) were captured in bottom children’s parks. In particular, the mean NDVI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of the top six children’s parks was 0.79, and that of the bottom six children’s parks was 0.38 (t=2.67*, *=p<0.05), indicating a significant difference. The frequency of capturing hornets was high when the ground around the children’s parks was grass or bare land. This study is meaningful as a reference study that confirms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hornets appearing in green and parks in the city. We expect it to be a foundation for effective urban green area management in the future.

목차
요 약
ABSTRACT
서 론
재료 및 방법
    1. 연구대상지
    2. 연구대상종 및 수집
    3. 환경공간정보 수집 및 조사 방법
결과 및 고찰
    1. 어린이공원 내 말벌속 종별 출현 현황
    2. 어린이공원 입지 및 환경공간정보에 따른 말벌속 출현분석
REFERENCES
저자
  • 김휘문(단국대학교 생명자원과학과 녹지조경학 전공) | Whee-Moon Kim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Dankook Univ.)
  • 김성열(단국대학교 생명자원과학과 녹지조경학 전공) | Seoug-Yeal Kim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Dankook Univ.)
  • 송원경(단국대학교 녹지조경학과) | Wonkyong So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Dankook Univ.) 교신저자
  • 최문보(경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 Mun-Bo Choi (Institute for Phylogenomics and Evolution, Kyungpook National Uni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