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설악산국립공원 분비나무개체군의 구조와 동태 모니터링 KCI 등재

Monitoring on the Structure and Dynamics of Abies nephrolepis Populations in Seoraksan National Park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329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5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설악산 분비나무 개체군의 쇠퇴징후에 대한 요인과 군락의 변화 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귀때기청봉, 관모능선, 설악폭포 지역에 고정조사구를 설치하였으며, 군락구조, 개체군동태, 비대생장 및 활력도 등을 2009년부터 모니터링 하였다. 설악폭포지를 제외한 3개 조사지는 아교목층이 수관층을 형성하는 3층구조를 보였다. 목본수종의 중요치에서는 분비나무, 눈측백, 신갈나무, 사스래나무, 당단풍나무 등이 주요 종으로 분포하였으며, 설악폭포지에 분포하는 분비나무의 중요치는 2009년 45.3%에서 2018년 36.8%로 가장 크게 감소하였다. 생육목의 개체수(DBH≥5cm)는 귀때기청봉2와 관모능선에서 각각 1,800개체/ha와 1,700개체/ha로 가장 많았으며, 지난 10년 동안 고사율은 귀때기청봉1과 설악폭포지에서 각각 38.3%와 35.3%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분비나무 개체군의 흉고직경급 분포에서는 귀때기청봉1 지역에서 가장 안정적인 역 J자형의 분포를 보였다. 분비나무의 연평균 비대생장은 0.96∼1.73mm/year 였으며, 활력도가 감소 추세를 보인 귀때기청봉2, 관모능 선, 설악폭포 지역에서 비대생장은 대체로 생장이 저하되는 추세를 나타내었다. 향후 모니터링 과정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면, 아고산 식생의 보전과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decline and the patterns of changes in Abies nephrolepis populations on Mt. Seorak. We installed permanent quadrats in the areas of the Gwittagicheongbong (peak), Gwanmoneungseon (ridge), and the Seorak Falls and have monitored the community structure, population dynamics, radial growth, and vitality in the quadrats since 2009. Excluding the Seorak Falls, the three research sites showed a three-layer structure in which the low-tree layer forms the canopy. Major tree species were Khingan fir, Korean arborvitae, Mongolian oak, Erman's birch, and Korean maple. The significance of Khingan fir in Seorak Falls decreased from 45.3% in 2009 to 36.8% in 2018. The number of shoots (DBH ≥ 5 cm) was highest at 1,800 individuals/ha and 1,700 individuals/ha at the Gwittagicheongbong 2 and the Gwanmoneungseon, respectively. The mortality rates over the past 10 years were very high, at 38.3% and 35.3%, respectively, in the Gwittagicheongbong 1 and Seorak Falls. The most stable inverse J-shaped distribution in the Gwittagicheongbong 1 area was shown in the size-frequency distribution of the Khingan fir populations. The average annual ring growth of the Khingan fir was 0.96 ~ 1.73 mm/year, and the ring growth tended to decrease in the areas of Gwittagicheongbong 1, Gwanmoneungseon, and Seorak Falls, where the vitality was low. If the monitoring process continues, it will be possible to obtain basic data for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subalpine vegetation.

목차
요 약
ABSTRACT
서 론
연구방법
    1. 연구대상지
    2. 미기상 환경
    3. 조사분석
결과 및 고찰
    1. 군락구조와 종조성
    2. 개체군동태
    3. 흉고직경급 빈도 분포
    4. 비대생장 및 수령 추정
    5. 분비나무의 활력
REFERENCES
저자
  • 전영문(송광생태연구소) | Young-Moon Chun (Songgwang Ecological Institute) 교신저자
  • 이호영(한길숲연구소) | Ho-Young Lee (Hankil Forest Institute)
  • 권재환(국립공원공단 종복원기술원) | Jae-Hwan Gwon (Species Restoration Technology Institute, Korea National Park Service)
  • 박홍철(국립공원연구원) | Hong-Chul Park (Korea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