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대학생 선후배간 코칭의 효과성 분석: 대학생활적응,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을 중심으로 KCI 등재

The Effect of Senior-Junior Coaching in University: Campus-Life Adapti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Decision-Making Level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366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000원
코칭연구 (Journal of Korean Coaching Research)
한국코칭학회 (The Korean Association of Coaching)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에서 신입생들을 위한 선후배간 코칭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이며, 구체적으로 코칭 이전과 이후 피코치의 대학생활적응,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을 비교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전에 코치에게 ‘CMOE 5-STEPS coaching process’에 기반한 코치양성교육을 이수토록 하였다. 신입생 피코치 38명에 대해서는 선후배간 코칭을 시작하기 전 사전검사를 실시하여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 대학생활적응을 측정하였다. 이후 3달 간 코칭 프로그램을 진행한 후에 동일한 사후검사를 실시하여 피코치의 진로결정자기 효능감, 진로결정수준, 대학생활적응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로 첫째, 대학생활적응과 관련하여 피코치의 사회적응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대학환경적응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관련하여, 피코치의 직업정보, 목표선택, 미래계획, 문제해결, 자기평가의 모든 하위척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셋째, 진로결정수준과 관련하여 확실성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미결정성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피코치는 코치를 같은 눈높이를 가진 자신만의 정서적 후원자로 인식하고, 진로와 관련된 객관적 정보를 함께 탐색하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senior-junior coaching for freshmen in university, and specifically to compare university students’ campus-life adapti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decision-making of coachees. The coaches completed coaching training program based on the ‘CMOE 5-STEPS coaching process’. Prior to the senior-junior coaching, a pre-test was conducted to measure campus-life adapti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decision-making level of 38 freshmen coachees. After three months of coaching, a post-test was condu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or campus-life adaption, social adapta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university environment adaptation. For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ccupational information, goal selection, planning, problem solving, and self-appraisal significantly increased. For career decision-making level, certainty significantly increased,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indecision. The coachee recognized the coach as her own emotional supporter and explored the career information together.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대학생을 위한 코칭
    2. 대학생활적응을 위한 코칭의 효과
    3.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에 대한 코칭의 효과
Ⅲ. 연구방법
    1. 코칭 프로그램 절차
    2. 연구 대상
    3. 연구 절차
    4. 측정 도구
Ⅳ. 연구 결과
    1. 대학생활적응에 대한 코칭 프로그램 전후 차이
    2.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대한 코칭 프로그램 전후 차이
    3. 진로결정수준에 대한 코칭 프로그램 전후 차이
    4. 피코치 인터뷰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Abstract
저자
  • 정승환(동덕여자대학교 교육혁신센터) | Jung Seung-Hwan (Center for Educational Innovation, Dongduk Women’s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 정지연(이화여자대학교 교육학과) | Jeong Jiyeon (Department of Education, Ewha Women’s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