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코칭역량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KCI 등재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Coaching Competency Scal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366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000원
코칭연구 (Journal of Korean Coaching Research)
한국코칭학회 (The Korean Association of Coaching)
초록

본 연구는 코칭역량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검토, 정리, 분석하여 코칭역량 구성요인을 살펴 보고 이를 측정할 척도문항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코칭역량 선행연구 분석 및 초점집단면담(FGI)을 진행하여 코칭역량 구성요인을 도출하고 105문항을 제작하였다. 코칭전문가에게 2차례에 걸친 내용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여 예비문항 95문항을 도출하고 일반인 120명을 대상으로 예비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척도 정교화를 진행하여 최종 66개의 문항을 도출하였다. 최종 문항으로 일반인 207명을 대상으로 본 조사를 실시하였고, 기술적 통계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으로 7개의 하위요인에 34개 문항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문항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모형적합도를 살펴보았으며, 수렴 타당성과 판별타당성을 확보하였다. 연구결과 자율성, 낙관주의, 희망, 관계성, 질문, 경청, 피드백 역량으로 명명한 최종 7개 요인 34개 문항의 코칭역량 척도를 확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코칭역량 척도는 전문 코치 양성이나 코칭프로그램의 효과성 측정에 기초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organize, and analyze previous studies on coaching competency, to examine the components of coaching competency, and to develop a scale of coaching competency. Through the review of previous studies and a focus group interview, the components of coaching competency were derived and 105 questions were produced. The content validity was verified two times by coaching experts and a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on 120 individuals with 95 questions extracted through the verification of the content validit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collected data and 66 questions were obtained. As a result of conducting the main survey on 207 individuals, and conducting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34 questions were extracted from 7 subfactors. The validity of the extracted 34 questions was verified b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the model fit. The convergence and discriminant validity of the 34 questions were prov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e coaching competency scale of 34 questions from 7 subfactors: autonomy, optimism, hope, relationship, question, listening and feedback.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the developed scale can be used as a resource for developing professional coaches and can provide basic data for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coaching program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코칭
    2. 코칭역량
Ⅲ. 연구방법
    1. 연구절차
    2. 연구대상
    3. 자료분석방법
IV. 연구결과
    1. 코칭역량 척도 구성요인
    2.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3.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한 타당성 검증
    5. 척도 개발 결과
IV.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Abstract
저자
  • 도미향(남서울대학교 대학원 코칭학과) | Do Mi-Hyang (Department of Coaching, Namseoul University.)
  • 김수영(남서울대학교 일반대학원 코칭학과) | Kim Soo Young (Department of Coaching, Namseou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