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유아의 성별, 기질 및 놀이성이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The Effects of Young Children's Sex Distinction, Temperaments and Playfulness on Social Competenc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367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900원
코칭연구 (Journal of Korean Coaching Research)
한국코칭학회 (The Korean Association of Coaching)
초록

본 연구는 유아의 성별, 기질 및 놀이성이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서울과 경기 인천 지역에 위치한 유치원과 어린이집 유아 341명을 대상으로 기질검사와 놀이성 검사, 사회적 유능감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통해 빈도분석, 독립 표본 t-검정, 피어슨의 상관분석,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성별에 따른 사회적 유능감은 여아가 남아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기질 및 놀이성과 사회적 유능감 간의 관계는 기질 중 활동성이 높을수록 사회적 유능감이 낮아지고 놀이성 중 주도적 참여가 높을수록 사회적 유능감이 높게 나타났다. 즉, 유아 기질의 각 하위요인들은 사회적 유능감의 정서조절 요인과 전체적인 상관관계가 있었고 기질의 나머지 하위 요인과 부분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성별, 기질, 놀이성이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성별, 활동성, 주도적 참여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을 설명하는데 성별, 기질과 놀이성은 중요한 예측요인이며 놀이성이 기질보다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young children's temperaments and playfulness on social competence. We conducted surveys on the temperaments, playfulness, and social competence of 341 children in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Incheon, Gyeonggi-do Province, South Korea.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samples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3.0.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with regard to the social competence of children according to gender, female children had higher social competence than male children. Second, with regar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emperament, playfulness, and social competence, the social competence of children was found to be lower but temperament to be active was higher. Social competence was higher as the participatory initiative component of their playfulness was higher. In other words, each temperamental subfactor of the children was correlated with the emotional regulation factor in their social competence and was shown to be partially correlated with other temperamental subfactors. Third, for the relative influence of the children's gender, temperament, and playfulness on social competence, gender had the greatest influence followed by the temperament to be active and participatory initiative. In conclusion, gender, temperament, and playfulness were determined as important predictors of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playfulness has a greater influence on social competence than temperamen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사회적 유능감
    2. 사회적 유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3. 놀이성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도구
    3. 자료분석
Ⅳ. 연구결과
    1. 유아의 성별에 따른 사회적 유능감의 차이
    2. 유아의 기질 및 놀이성과 사회적 유능감 간의 관계
    3. 유아의 성별, 기질 및 놀이성이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Ⅴ.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Abstract
저자
  • 이은임(남서울대학교 대학원 아동복지융합학과) | Lee eun im (Department of Child Welfare Convergence, Namseoul University.)
  • 최경수(남서울대학교 대학원 아동복지융합학과) | Choi gyong su (Department of Child Welfare Convergence, Namseoul University.)
  • 백향기(남서울대학교 대학원 아동복지융합학과) | Baek hyang gi (Department of Child Welfare Convergence, Namseou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