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한문과 교육의 새로운 지평 KCI 등재

A New Horizon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458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000원
漢字漢文敎育 (한자한문교육)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The Korea Association For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초록

본 논문은 국가 교육과정의 개편에 앞서 새로운 한문과 교육과정을 모색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새로운 한문과 교육과정 모색을 위하여 중점적으로 검토해야 할 사항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학문 자체가 교과가 될 수 없기에, 한문 교육은 양적 확장보다 질적으로 심화할 수 있도록 전환되어야 하며, 기초개념 중심으로 재조직되어야 한다. 향후 개정될 차기 한문과 교육과정에서는 이러한 원칙에 입각하여 영역을 새롭게 설정하고 그에 알맞은 학습내용요소와 성취기준을 제시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한문과의 기본성격은 선인들의 지혜와 사상 이해 등 내용적인 요소보다는 언어교육 그 자체로부터 도출되어야 한다. 과거 우리의 존재 양식이었던 한문을 구체적으로 경험함으로써 우리 언어문화의 이해의 폭을 넓히고 풍성하게 구성하는 데에서 한문교육의 기본성격을 도출하고, 이후 한문학습의 효용성을 강조해야 한문교육의 독자적인 정체성이 구현될 수 있기 때문이다.
셋째, 한문과는 현재의 언어를 교육하는 교과이기도 하기에, 현실교육의 맥락에서 한자 어휘교육을 중심으로 중요한 언어교육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이를 위해 고전문어 교육과 한자 어휘교육의 연속성을 점검하고, 동시에 한자 어휘에 대한 다양한 연구를 바탕으로 한자 어휘교육의 목표와 방향 등을 새롭게 설정해야 한다.
현재 우리나라의 경우는 교육과정이 개편되더라도 중등학교 학생들의 절대적인 학습량이 줄어들기 어려우며, 세계적으로 지식교육이 다시 강조되고 있다. 이 점을 고려할 때, 우리나라 중등학교 교육과정에서는 기초 지식과 기본소양 교육이 강화되어야 하며, 한문과 역시 문해력 향상, 인문소양 강화가 반영된 교육과정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이러한 교육과정이 실제 교육에 구현될 수 있도록 한문교육계는 교육역량 강화를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has been written to try to find a new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The main contents of this paper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ecause the academic study itself cannot be a subject, classical Chinese education should be converted to deepen in quality rather than quantitative expansion, and reorganized around basic concepts. The next revised curriculum of classical Chinese subject will require a new area to be set up based on these principles and to present appropriate learning contents and achievement criteria.
Second,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the classical Chinse education should be derived from language education itself rather than from the content factors such as the wisdom and understanding of ideas of the predecessors. This is because the independent identity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can be realized only when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is derived in broadening and richly constituting the understanding of our language culture, and then emphasizing the utility of studying classical Chinese.
Third, since classical Chinese subject is also a subject that educates the current language, it should play an important role in language education focusing on Sino-Korean vocabulary education in the context of contemporary Korean education.
Currently, even if the national curriculum is newly revised, the absolute study amount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cannot be reduced, and knowledge education is again emphasized worldwide. Considering this point, basic knowledge should be strengthened in our secondary school curriculum, and people in the classical Chinese education should also prepare a curriculum that reflects improving literacy and enhancing classical humanities skills.

목차
국문초록
Ⅰ. 들어가며
Ⅱ. 학문으로의 ‘한문’으로부터 교과로의 ‘한문’으로
Ⅲ. ‘한문’ 교과의 기본 성격 설정 방향 – 고전 문어 교육의 성격 및 현실 언어 교육의 문제
Ⅳ. 중등 교과교육에서 한문 교과의 좌표
Ⅴ. 나가며
參考文獻 Reference
Abstract
저자
  • 류준경(성신여자대학교) | Ryu Jun-Kyung (Sungshin Women’s University)
  • 김우정(단국대학교) | Kim Woo-Jung (Dankook University)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