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영산강 하구 갯벌의 퇴적환경 변화 KCI 등재

Changes of Sedimentary Environment in the Tidal Flat of the Dammed Yeongsan River Estuary, Southwestern Coast of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534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해양환경안전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and Safety)
해양환경안전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초록

하굿둑과 좁고 깊은 수로형 하구의 특성을 갖는 영산강 하구에서 하구 갯벌의 퇴적환경 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6년 동안(2005∼ 2011) 표층퇴적물의 입도와 조간대 바닥의 높이 변화(침·퇴적 변화)를 모니터링 하였고, 2008년 9월에는 하구 조간대에서 수리관측을 수행 하였다. 전체 갯벌의 82 %가 연안개발에 의해 사라진 영산강 하구의 갯벌은 현재 대부분 하부조간대의 좁은 갯벌로 남아있으며, 대부분 점토와 실트로 구성된 퇴적물은 전체의 70 ~ 94 %를 실트가 차지할 정도로 점토-부족, 실트-우세의 특성을 보인다. 이는 개발에 따른 점토 퇴적 공간(즉 조상대와 상부 조간대)의 상실과 낙조류 우세의 조류 특성 변화에 기인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하구의 갯벌 퇴적물은 바람이 강한 가을부터 봄까지 실트가 많아져 조립해지고, 바람이 약하고, 방류량이 많은 여름에 점토가 많아져 상대적으로 세립해지는 계절적 변화를 보임으로써 하구 갯벌에서 퇴적물 입자의 거동이 실트 입자의 경우 풍파에 의해서, 점토 입자의 경우 주로 담수 방류와 조석작 용에 의해 영향 받고 있음을 보여준다. 하구 갯벌에 대한 6년 동안(2005∼2011)의 침·퇴적 모니터링 결과는 영산강 하구 조간대에서 연평균 -2.6 cm/y의 침식이 이루어졌고, 2010년경에는 특이하게 연평균 4 cm/yr의 퇴적이 일어났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하구 조간대의 침식은 하굿둑 및 영암-금호 방조제 건설 이후에 이루어진 조석의 진폭 증가와 낙조 우세 조류의 비대칭성 강화에 기인된 것으로 평가되며, 2010년 의 퇴적은 하구 준설에 따른 부유물의 대량 발생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By monitoring sediment grain size and level variation of tidal flat surface for 6 years (2005-2011), and also by mooring TISDOS (tidal-flat sediment dynamics observation system) on the low intertidal flat in 2008, we investigated the sedimentary environment of tidal flat in the dammed Yeongsan River Estuary. The tidal flat of the Yeongsan River Estuary lost 82 % of its area because of coastal development projects, and a narrow tidal flat below mean sea level now remains. Most of the tidal flat sediments are composed of silt up to 70-94 %, and show the characteristics of clay deficiency and silt dominance. This is closely related with the coastal development, which led to the destruction of high tidal flats where most mud settled, and the modification of tidal current patterns. Moreover, the estuarine tidal-flat sediments reveal seasonal variation. They are coarse with abundant silt during windy autumn to spring, fine with abundant clay during the less-windy and high-discharge summer. This phenomenon indicates that the behavior of sediment particles on the low intertidal flats of the Yeongsan River Estuary is influenced by wind waves for silt and fresh water discharge and the tidal process for clay. Monitoring results of the altitude of tidal flat surface showed that the study area had eroded at an average rate of –2.6 cm/y during the period of 2005-2011, and also that an unusual deposition with a rate of 4 cm/y occurred in 2010. The erosion can be explained by an increased tidal amplitude and a strengthened ebb-dominant tidal asymmetry after the construction of an estuary dike and the Yeongam Kumho Seawall. The deposition in 2010 seems to have been closely related to the mass production of suspended materials from dredging of the estuary.

목차
요 약
Abstract
1. 서 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1.2 연구지역
2. 재료 및 방법
    2.1. 퇴적물의 입도 및 침‧퇴적 모니터링
    2.2 수리관측
3. 결 과
    3.1 조간대 지형
    3.2 조간대 표층퇴적물의 입도 조성 변화
    3.3 조간대의 침·퇴적 변화
    3.4 조간대의 수리역학
4. 토 의
5. 결 론
References
저자
  • 김영길((주)지오시스템리서치) | Young-Gil Kim (GeoSystem Research Corp.)
  • 이명선(목포대학교 해양수산자원학과) | Myong Sun Lee (Department of Marine Fisheries Resources, Mokpo National University)
  • 장진호(목포대학교 해양수산자원학과) | Jin Ho Chang (Department of Marine Fisheries Resources, Mokpo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