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독거노인의 주거안전성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기능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KCI 등재

A Study on the Effect of Residential Safety on Living Satisfaction of the Elderly Living Alone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Functional Suppor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597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7,000원
사회적질연구 (Korean Journal of Social Quality)
한국사회적질학회 (Korean Association on Social Quality)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독거노인의 주거환경요인인 이 생활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이 두 변인과의 관계에서 기능적 지지가 조절변인으로서의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대전광역시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동구, 중구, 서구, 유성 구, 대덕구에서 각각 90명씩 450명을 대상으로 생활 관리사들의 도움을 얻어 방문 설문조사를 실시해 450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사회과학을 위한 통계분석 프로그램(SPSS 24.0)을 이 용해 빈도분석, 기술통계, 변수들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한 상관분석, 조절효과 검증을 위한 다중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결과 인구학적 요인으로는 주관적 건강상태는 가장 정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를 보였고, 교육수준과 직업이 부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를 알 수 있었다. 또한, 주거환경 요인인 이 생활만족도에 긍정적으로 영향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기능적 지지의 경우 독거노인의 주거환경 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기능적 지지 중에서도 정서적 지지에 비중을 크게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능적 지지라 함은 사회적 지지의 두 가지 의 미인 구조적 지지와 기능적 지지의 일부분으로써 물질적 지지, 정서적 지지, 정보적 지지를 모은 용어 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독거노인의 생활만족도 향상을 위하여 네 가지를 제언한 다. 첫째, 독거노인의 주거환경을 재해로부터 안전하게 관리할 필요가 있다. 둘째, 독거노인의 생활만족도에 건강상태가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남에 따라 독거노인의 건강을 체계적으로 관리·감독할 필요가 있다. 셋째, 기능적 지지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미하게 나타남에 따라 기능적 지지를 위한 체계적 지원책 마련이 필요하다. 넷째, 독거노인의 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주거안전성 및 사회적 지지에 대한 지역사회 차원의 지원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housing safety, a residential environment factor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affects living satisfaction, and to specifically explore whether functional support plays any role as a control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variables. For this research, 450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fter a survey among 450 people aged 65 or older living alone in Donggu, Jung-gu, Seo-gu, Yuseong-gu and Daedeok-gu in Daejeon, with the help of living managers. As research methods, the statistical analysis program for social sciences (SPSS 24.0) was used to identify the relevance between frequency analysis, technical statistics, and variables, and regression analysis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subjective health conditions have the most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and education levels and occupations are negatively significant. In addition, residential safety has a positive influence on living satisfaction, and in the case of functional support of social support, the study reveals that the housing environment of the elderly living alone has a controlling effect on living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study shows that, among types of functional support, great importance is being placed on emotional support.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four things to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living alone. First, it is necessary to safely manage the living environment of the elderly living alone. Second, as health status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living alone, it i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manage and supervise the health of the elderly living alone. Third, as functional suppor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it is necessary to prepare systematic support measures for functional support. Fourth, community-level support for housing safety and social support should be continuously provided to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living alone.

목차
요약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모형
    2. 연구대상
    3. 측정변수
    4. 자료분석
Ⅲ. 연구결과
    1.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2. 주요변수에 대한 기술통계분석
    3. 변수간의 상관관계분석
    4. 분석모형과 가설검증
Ⅳ. 결론 및 제언
    1. 주요연구 결과와 논의
    2. 독거노인복지정책과 실천을 위한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이장욱(충청대학교 사회복지과) | Jang-uk Lee (Dept. of Social Welfare, Chung-cheong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