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느타리버섯 톱밥배지 질소함량에 따른 자실체 특성변화 KCI 등재

Changes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fruiting body of oyster mushroom (Pleurotus ostreatus) according to the nitrogen content in sawdust medi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621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버섯학회지 (Journal of Mushrooms (J. Mushrooms))
한국버섯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ushroom Science)
초록

느타리버섯 톱밥배지 질소함량에 따른 자실체 특성변화 조사를 통해 품종별 적정 질소함량을 구명하여 고품질 느타리버섯 재배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질소함량을 1.3%, 1.6%, 1.8%, 2.3%로 조절하여 균사생장기간을 조사한 결과 질소함량이 균사생 장속도 및 밀도에는 큰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자실체 형성과정 및 자실체 신장에는 질소 함량이 영향을 끼쳤는데, 춘추2호와 흑타리의 경우 질소 함량이 2.3% 이상일 때 갓이 불균일하고 색택 등이 나빠 상품성이 떨어졌으며, 특히 춘추 2호는 유효경수가 3개로 급격히 감소하였다. 솔타리는 질소함량이 1.3% 이하일 때 대 길이가 짧아지고, 유효경수가 6개로 줄어들어 수량도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질소함량에서는 정상적인 자실체를 형성하였다. 자실체 특성조사결과 춘추2호는 질소함량 1.8%에서 갓 직경이 27 mm, 대 직경과 길이가 각각 11 mm, 61 mm였고, 색도측정결과 갓의 명도값이 31, 대의 명도값이 80로 상품성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유 효경수 또한 25개로 가장 많았다. 흑타리도 질소함량 1.8%에서 갓 직경이 29 mm, 대 직경과 길이가 10 mm, 68 mm, 색도값으로는 갓이 37, 대가 78로 우수하였고, 유 효경수도 19개로 가장 많은 것을 확인하였다. 솔타리의 경우도 갓 직경 및 색도 등 형태적인 특성으로 봤을 때 질소함량 1.8%에서 가장 우수한 버섯을 생산하고 유효경수도 22개로 많았다. 종합적으로 결과를 정리하였을 때, 느타리버섯 품종에 관계없이 질소함량이 1.8%일 때 고품질의 느타리버섯 재배가 가능하였고, 춘추2호와 흑타리는 질소함량이 2.3%이상, 솔타리는 1.3%이하일 때 상품성 떨어지는 느타리버섯이 발생하므로 적정 질소함량인 1.8%로 재배하였을 때 높은 상품성 및 안정적인 수량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lucidate the optimal nitrogen content for each variety of oyster mushroom (Pleurotus ostreatus) by investigating the change in the characteristics of fruiting body according to the nitrogen content of the sawdust media, and to use the results as the basic data for cultivation of high quality oyster mushroom. The nitrogen content was adjusted to 1.3%, 1.6%, 1.8% and 2.3%, and at each condition, mycelial growth was observed, which showed that the nitrogen content did not affect the rate of mycelial growth and density substantially. In the investig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fruiting body, at the 1.8% nitrogen content, Chunchu No.2 showed the pileus diameter of 27 mm, and the stipe diameter and length of 11 mm and 61 mm, respectively, and the measurement of its color values revealed that the brightness of the pileus and the stipe was 31 and 80, respectively, offering the best commercial value, and yielding 25 valid stipes, which was the largest number. Likewise, at the 1.8% nitrogen content, Heuktari also showed the excellent growth characteristics including the pileus diameter of 29 mm and the stipe diameter and length of 10 mm and 68 mm, respectively, and the superb color values of the brightness of 37 at the pileus and 78 at the stipe. Moreover, the number of valid stipes was also found to be the highest with 19. In terms of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pileus diameter and color, Soltari also produced the best mushrooms at the 1.8% nitrogen content and the number of valid stipes was high with 22. In summary, irrespective of varieties of oyster mushroom, high quality products could be cultivated at the nitrogen content of 1.8%.

목차
ABSTRACT
서 론
재료 및 방법
    공시균주
    질소함량별 균사생장 및 밀도
    질소함량별 배지 이화학성 분석
    질소함량별 버섯 재배시험
    자실체 형태적 특성검정
    아미노산 성분분석
    통계처리
결과 및 고찰
    톱밥배지 질소함량별 균사생장 및 밀도
    질소함량별 배지 이화학성 변화 분석
    질소함량별 발생된 자실체의 형태적 특성검정
    질소함량별 발생된 자실체의 아미노산 성분분석
적 요
REFERENCES
저자
  • 박혜성(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버섯과) | Hye-Sung Park (Mushroom Research Division, NIHHS, RDA) Corresponding author
  • 민경진(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버섯과) | Gyong-Jin Min (Mushroom Research Division, NIHHS, RDA)
  • 이은지(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버섯과) | Eun-Ji Lee (Mushroom Research Division, NIHHS, RDA)
  • 이찬중(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버섯과) | Chan-Jung Lee (Mushroom Research Division, NIHHS, RDA)
  • 공원식(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버섯과) | Won-Sik Kong (Mushroom Research Division, NIHHS, RD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