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이산해 쓴 <광산이씨승지공이달선비>의 서예사적 가치 KCI 등재

The Calligraphic Value of Lee Dal-seon Stele by Lee San-ha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630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600원
문화와예술연구 (문화와예술연구 (문화예술연구))
초록

조선 중기의 문신 이산해는 1576년에 <이달선비>, 1577년에 <이언적신도비>, 1585년에 <조광조신도비>를 썼다. 30대 후반부터 40대 중반까지 쓴 삼비 중 첫 비인 <이달선비>는 조선시대 승정원 좌부승 지를 지낸 문장가 이달선(1457-1506)의 묘비로, 전남 화순군 화순읍 앵남리 도덕산 아래에 있다. 윤구가 비문을, 이이가 추기를 짓고, 비액과 양면의 글씨는 모두 이산해가 써 당대의 명문장가와 명필의 조합이 환상적인 의미 있는 비다. 전서와 해서로 쓴 이산해 글씨의 출중함은 그가 조선 중기의 명필임을 분명히 말해 준다. 이 글은 두 비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주목받은 <이달선비> 글씨의 특징을 살펴 그 서예사적 가치를 찾아보기 위한 것이다. 변화가 많은 비액의 전서는 물론 정연하면서 행기가 부분적으로 있는 전면의 해서, 행서의 필의가 농후한 후면의 해서까지 조금씩 다른 느낌으로 쓰여 <이달선비>는 첩에서는 느낄 수 없는 이산해의 특출한 솜씨를 보여 준다. 동시에 비 상부의 원형, 전서의 원필, 해서 비문의 유려한 서풍이 종합적 조화를 이룬다. 이런 이질감과 동질감을 동시에 표현한 이비는 문화재적 가치가 큰 금석문이다. 이산해는 조선 초기의 유행 서풍인 송설풍을 잇고, 중기의 유행 서풍인 석봉풍과 부분적으로 그 맥을 같이 하면서 동시에 풍후한 안진 경풍도 드러냈다. 그러나 그들에 머물지 않고 힘차면서 유려하고, 노 련하면서 능통한 자신의 독창적 서풍을 창조하여 일가를 이룬 명필 이다. 따라서 그의 나이 38세에 쓴 첫 비인 <이달선비>의 서예사적 가치도 마땅히 그의 서예적 명성에 걸맞게 평가되어져야 한다.

Lee San-hae, civil minister of the middle Joseon dynasty, wrote Lee Dal-seon Stele in 1576, Lee Eon-jeok Stele in 1577, and Jo Kwang-jo Stele in 1585. Among the three written from the late 30’s to the middle 40’s, the first Lee Dal-seon Stele at Hwasun-gun, Geollanam-do is the tombstone to memorize Lee Dal-seon, famous writer of the time. Yun Gu composed the front side and Lee I the back side. Lee San-hae wrote the title on the top of the front side and both sides. Accordingly, it is a important stele showing the fantastic combination of the noted writers and calligrapher of the time. The excellence of the seal and regular scripts clearly tells us the fact that Lee San-hae was a master calligrapher in the 16th century. This paper is to search for the calligraphic value of Lee Dal-seon Stele that did not receive attention relatively, compared to the two stelae. The diversified seal script of the title writing, the regular script of the front side with the taste of the light running script, and the regular script of the back side with the sense of the heavy running script were written in some different feeling. It makes the stele very special in terms of the calligraphic style. At the same time, the round shape of the head of the stele, the round stroke of the seal script, and the flowing style of the regular script are natural and harmonious. The stele with such sense of difference and kinship is a very meaningful material having the value of the cultural assets. Lee San-hae succeeded to the style of Zhao Mengfu, the calligraphic trend of the early Joseon dynasty, partially kept with the style of Han Ho, that of the middle Joseon dynasty. Adding the style of Yan Zhengqing in China to them, Lee finally accomplished his own creative style revealed powerfulness and elegance as well as flyness and fluency beyond them. Therefore, the calligraphic value of Lee Dal-seon Stele, the first one written at the age of 38, should be judged worthy of his calligraphic reputation.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이달선비>의 개관
Ⅲ. 이산해의 詩書에 대한 평
Ⅳ. <이달선비> 글씨의 특징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정현숙(원광대학교 서예문화연구소) | Jung Hyun Sook (Wonkwang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