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절대 습도와 이슬점 온도의 관계에 대한 지구과학 예비 교사들의 인식 KCI 등재

Earth Science Prospective Teachers’ Percept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bsolute Humidity and Dew Point Temperatur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654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8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절대 습도와 이슬점 온도의 관계에 대한 예비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하여 설문지를 투입하였다. 설문 결과 예비 교사들이 “절대 습도와 이슬점 온도는 비례한다.”, “이슬점 온도는 공기 중의 수증기의 질량에 비례한다.”와 같은 견고한 오개념을 갖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예비 교사들이 갖는 이러한 오개념은 절대 습도와 이슬점 온도의 관계에 대한 7차 교육과정과 2007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과학 교과서의 부정확한 서술 내용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1학년 과학 교과서는 증발, 응결, 압력과 온도 변화에 따른 기체의 부피 변화를 분자 운동의 관점에서 다루기 때문에, 중학교 교육과정에서 이러한 관점을 유지하기 위해 수증기량과 이슬점 온도의 척도로서 수증기압의 도입은 예비 교사와 학습자의 오개념을 방지할 수 있으며, 과학 교육과정을 보다 일관되고 논리적으로 만들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and all responses were analyzed to examine prospective teachers’ conceptual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dew point temperature and absolute humidity in air parcels. The responses revealed that many prospective teachers have substantial misconceptions about the relationship. For example, some thought that the absolute humidity and the dew point temperature are proportional to each other, and that the dew point temperature is proportional to the water vapor mass in the parcel. The misconceptions seemingly stemmed from inadequate descriptions on the relationship in middle-school science textbooks of the 7th and 2007 revised curricula. The study notes that the first year students’ textbook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troduced the concepts of evaporation, condensation, and volume changes as a function of gaseous pressure and temperature, from a perspective of molecular motion. It is suggested that keeping this perspective in the middle school curriculum, while introducing water vapor pressure as the measure of water vapor amount and dew point temperature, should help prevent middle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from having misconceptions. There should be a concerted effort to make the science curriculum more consistent and coherent across the grade levels.

목차
Abstract
요 약
서 론
연구 방법 및 절차
    설문 조사
    문헌 조사(교과서)
연구 결과 및 논의
    설문지에 드러난 예비 교사의 인식 분석
    연구 내용과 관련된 교과서 분석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
  • 강소라(충남여자중학교) | So Ra Kang (Chungnam Girl’s Middle School)
  • 서은경(공주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Eun-Kyoung Seo (Kongju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 김동영(한국교육과정평가원 수학능력시험본부) | Dong Young Kim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